3월 최종안 마련 계획 어디로
지난해 선포식 올해로 미뤄
상반기 지나도록 안건 실종
반대단체 시위 등 갈등 여전
공약 점검 등 도민 소통 촉구
당초 지난해 제정 예정이었던 제주평화인권헌장이 올해로 미뤄졌지만 상반기가 지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세계평화의섬 20주년을 맞이하고도 평화인권헌장에는 소식이 없어 도지사 공약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8일 제주도에 따르면 당초 지난 3월까지 평화인권헌장 최종안이 마련될 계획이었다.
앞서 도는 지난해 12월 중 헌장 최종안 확정과 선포식을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반대단체 설득에 부족함을 느끼고 일정을 미루게 됐다.
당시 오영훈 도지사는 “일정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더 많은 도민이 공감하고 지지할 수 있는 헌장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듣고 서로의 목소리를 존중하며 협력할때 진정한 평화인권헌장이 탄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도는 올해 2월까지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의견 수렴을 거쳐 3월까지 평화인권헌장 최종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올해 12월까지 실천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상반기가 지나도록 아무 소식이 없자 공약에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제주평화인권헌장 제정은 오영훈 도지사의 주요 공약 중 하나다. 특히 ‘도민화합’ 분야에서는 다른 공약들보다 우선 순위에 놓여 있다.
이 공약은 ‘정상 추진’ 범주로 확인되고 있지만, 도민들은 추진 상황조차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3월까지 최종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 외에는 3·1절 보도자료를 통해 ‘세계평화의섬 20주년을 맞아 4·3기록유산의 유네스코 등재와 평화인권헌장 제정을 추진하겠다’라는 언급이 전부다.
이후 상반기가 지난 현재까지 평화인권헌장에 대한 소통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토론회도 못해보고 평화인권헌장에 대한 도민 공감대 마련 절차가 중단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는 사이 도청 앞 시위 등 반대단체의 움직임은 여전해 갈등만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도는 도내외 인권단체 등과의 교류 협력을 통한 공감대 형성 및 소통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한편 도는 평화와 인권의 인류보편적 가치와 수눌음 가치를 반영한 제주평화인권헌장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