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의원 연구단체 도시·교통 문제 연구회
16일 원도심 주차 문제 해소 방안 연구 중간보고
서귀포 주차장 확보율 163%에도 이면도로 주차 선호
시간대별 탄력 요금, 빈집 활용 주차장 확보 등 제안

제주도시·교통문제연구회 주최로 '제주 도시계획을 통한 원도심 등 주차문제 해소 방안 연구' 중간보고회 및 토론회가 16일 도의회 소통마당에서 열렸다. 김은수 기자
제주도시·교통문제연구회 주최로 '제주 도시계획을 통한 원도심 등 주차문제 해소 방안 연구' 중간보고회 및 토론회가 16일 도의회 소통마당에서 열렸다. 김은수 기자

고질적인 원도심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시간대별로 주차요금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빈집을 활용해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도의회 의원 연구단체인 제주 도시·교통 문제 연구회는 16일 도의회 소통마당에서 '제주 도시계획을 활용한 원도심 등 주차 문제 해소 방안 연구 중간보고회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속적인 차량 증가로 주차시설이 열악한 지역에서 불법주정차는 물론 이로 인한 안전사고, 교통 혼잡 등 문제가 발생하면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서귀포시 주차실태 및 원인과 해결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조항웅 인트랜 대표는 서귀포시 원도심의 경우 주차장 확보율이 비교적 높음에도 이면도로 주차 문제가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조 대표에 따르면 서귀포시 원도심을 8개 블록으로 구분해 주차실태를 분석한 결과 주차장 확보율은 163.5%로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차장 확보율은 자동차 등록 대수 대비 공영 주차장, 아파트·주택·상가 등에 부속된 부설 주차장 비율을 뜻한다. 

하지만 건축물 내 주차 이용률은 36.6%~52.8% 수준으로, 대부분 이면도로에 차를 세우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간대별로 오후~야간 시간대 이면도로 주차 차량이 많았으며 지역주민이 아닌 외부차량이 70%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불법 주정차에 대한 단속과 제재가 미흡한 데다 도착지와 가능한 가깝게 세우려는 심리와 주차 요금을 아깝게 여기는 문화 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조 대표는 이면도로 장기주차 해결을 위해 서귀포오일장과 갈매생태공원을 잇는 셔틀버스 정기운행과 오전 9시~오후 2시 할인을 통한 탄력적인 주차요금 적용 등을 제안했다.

'제주 원도심 내 주차문제 해소를 위한 도시계획 활용방안 연구'로 발표한 박광호 JPM 전무는 원도심내 빈집과 나대지를 활용해 주차장을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빈집 건축물 철거비용과 주차장 조성비용을 지원해 생활SOC 주차장을 조성하자는 것이다. 김은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