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훈 제주상하수도본부 상수도부 주무관

최근 정부는 '기후위기 적응 강화 대책'을 통해 홍수·가뭄을 사전에 예측하고 피해를 줄이는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수자원 관리도 '빠르게 대응하는 것'에서 '미리 예견하고 준비하는 것'으로 전환 중이다.

상수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 깨끗한 수돗물이 당연하게 흐르기까지는 수원 확보, 정수 처리, 관망 운영 등 수많은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모든 흐름이 기후에 영향을 받는 시대가 됐다. 가뭄으로 취수량이 줄어들거나, 폭우로 수질이 흔들리면,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기후에 흔들리지 않는 수돗물'을 준비하는 일이다. 최근 상수도 행정은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정수장 가동을 자동화하고, 관망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체계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니라, 기후위기에 대응해 일상을 지키기 위한 구조적 변화다. 어디서 누수가 발생하는지, 언제 수질 이상이 생길지를 미리 알 수 있다면 수돗물은 멈추지 않고 흐를 수 있다.

제주도상하수도본부 역시 여름철 수요 증가에 대비해 관망 수압을 조절하고, 고온기에도 안정적인 공급이 이뤄지도록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일상의 물을 지키기 위한 준비는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다.

우리는 수돗물이 끊기지 않기를 바라지만 그 바람은 기술과 준비 없이는 이뤄질 수 없다. 앞으로의 상수도는 단순한 공급을 넘어, 위험을 예측하고 대비하는 시스템이 돼야 한다. 기후가 변해도 수돗물은 변함없이 흐를 수 있도록 우리 일상의 가장 기본을 지켜가는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