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결과
인구 1000명당 수도권 1.86명
반면 비수도권 0.46명 4배 차이
제주 0.12명 그쳐…"수가 개선"

제주지역 필수 의료 전문의의 기피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1000명당 필수 의료 전문의 수 차이는 4배 가까이 벌이진 상황이다.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수행한 '국민 중심 의료 개혁 추진 방안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수도권 인구 1000명당 필수 의료 전문의 수는 평균 1.86명이다.

이번 조사는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8개 주요 필수 진료과목 전문의를 기준으로 지역 간 인력 분포를 분석한 것이다.

이에 비수도권 인구 1000명당 필수 의료 전문의 수는 0.46명에 불과하다. 필수의료 분야는 낮은 경제적 보상과 과중한 업무, 높은 사고 위험 등으로 지원을 기피하는 경향이 강한 가운데 이마저도 수도권에 집중된 셈이다.

이를 시도별로 살펴보면 제주는 인구 1000명당 필수 의료 전문의 수는 0.12명에 그쳤다. 세종 0.06명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낮다.

이 가운데 제주를 포함해 울산 0.18명, 충북 0.24명, 강원 0.25명 등이 하위권에 속했다. 나머지 서울은 3.02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2.42명, 부산 0.81명, 대구 0.59명, 인천 0.55명, 경남 0.53명 등 순이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지역의 높은 의사 임금에도 불구하고 정주 여건 문제 등으로 수도권 선호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역 간 의료인력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필수 의료 분야의 낮은 보상 수준, 높은 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공백도 심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필수 의료인력이 수도권 집중이 지속되면서 향후 분야별·지역별 의료인력 불균형이 더 심해질 것"이라며 "보상을 확대하는 등 불공정한 수가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