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균 제주도감사위원회 도민감사관
청렴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한번 쯤 들어 본 적 있을 것이다.
물이 아주 맑거나 깨끗한 상태를 두고 청이라는 글자로 표현하고 있다. 이 맑고 깨끗한 상태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단어가 바로 청렴이라고 생각한다. 청렴이란 법령을 위반하지 않으며 지위를 남용하지 않은 행위라고 할 수 있겠다.
어원으로 보면 성품과 행실이 높고 맑으며, 탐욕이 없는 상태로 전통적으로 바람직하고 깨끗한 공직자상을 의미하고 있다.
청렴이란 거창하고 어려운 의미가 아니라 자신이 맡은바 업무를 공정하게 처리하고 투명하게 행하는 언행이라고 말 하고 싶다.
공직자로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면 이미 청렴한 마인드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청렴마인드를 만드는 것은 제도와 법만으로는 분명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공직자 스스로 청렴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을 가지고 청렴에 대해서 자문해 보며 자신의 양심을 통제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시간은 일상생활에서 만들 수 없는 시간이기에 청렴교육을 통해서 나와 조직을 위해 양심을 통제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 보는 것이 꼭 필요하다.
청렴한 조직과 청렴한 공직자은 상대가 먼저 변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나 먼저 스스로 청렴하게 변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잘못된 규정이나 관행이 고착되지 않도록 시정·개선하는 노력이 가장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도민이 체감하고 도민사회 생활 속으로 청렴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나 역시 전력 할 생각이다.
공직자와 도민감사관 모두가 앞장서서 청렴한 공직문화를 만들어 나가는데 변화를 준다면 도민사회 청렴지수는 물론 제주특별자치도의 기관 청렴지수도 분명 한 단계 상승 될 것으로 확신 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