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숙 「꿈을 나눠 먹어요」

은유 뒤에 숨은 한 생은 순간의 이미지였다.

「꿈을 나눠 먹어요」의 저자 고영숙 시인은 인간의 내면적 상처와 치유, 가족과 사회라는 거대한 맥락 속에서 개인이 겪는 고통과 연대, 그리고 꿈과 희망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여자'와 '남자'의 각기 다른 시선, 이들의 생애를 끌고 가는 슬픔, 세상의 무심함 속에서 만들어지는 연대와 따뜻한 약점 등을 이야기 한다.

고영숙 시인은 거스를 수 없는 전생을 원초적 슬픔의 뿌리로 정의하며 연민의 시선으로 이들을 끌어당긴다. 절제된 슬픔은 강한 내면의 힘으로 타인의 눈물을 읽는 힘이 된다.

상실로 강행되는 치열한 현실이다. 고영숙 시인은 고통 앞에서 몇 번이나 신의 이름을 부르는 인간의 좌절을 지켜보며 부재중인 신을 소환한다.

가장 나약한 존재로 슬픔에 결박당한 흔적들, 감각에 의존하는 전생을 경유해 다시 현생으로 이동하는 무의식의 삶을 방관하는 신을 환기시킨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간병에 허덕이다 스스로 무너지는 사람들, 온힘을 다해 취업난을 헤쳐 나가는 푸른 청춘들, 유리 교실 속 지키지 못한 안타까운 교사의 죽음, 주민번호가 없이 그림자로 살아 온 아이들의 발자국도 보인다.

몇 번을 허물고 다시 지으며 언어의 모래성을 쌓는 감정노동자, 고영숙 시인은 거스를 수 없는 전생을 원초적 슬픔의 뿌리로 정의하며 연민의 시선으로 이들을 끌어당긴다.

수많은 화자들의 흐트러진 눈물의 결정체와 아름다운 빛의 결정체는 동의어라고 그만의 기록으로 쓰이는 페이지는 절망의 한계와 희망의 가능성 앞에 선 절실한 이들에게 보내는 찬사이기도 하다.

저자는 제주에서 태어나 2020년 '계간 리토피아 77호 시부분'에 '나를 낳아주세요' '인공눈물' '물의 무용담' '겨를' '마블링의 쓸모' 등 5편이 당선되며 등단했다.

이외에 펴낸 시집은 「나를 낳아주세요」가 있다.

특히 고영숙 시인의 '해녀, 바다의 푸른빛'은 ㈔세계문화유산보존사업회(이사장 김택남)이 실시한 '2020 아름다운 제주해녀 창작곡 공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박수홍씨의 '해녀, 바다의 푸른빛'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여우난골. 1만2000원. 박찬우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