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제주에서만 7만6000여t의 해양쓰레기가 수거됐다는 해양수산부 자료가 국회를 통해 공개되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해양쓰레기 수거량 65만t중 12%, 전남에 이어 전국 두번째로 많이 수거된 것이다. 해양쓰레기가 제주바다를 뒤덮으면서 청정 이미지는 물론 수산업과 해양 생태계도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 국내 해양쓰레기 대부분이 중국에서 유입되고 있지만, 도민과 관광객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도 무시할 수 없다. 

문제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대응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발생 자체를 줄이는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 어업용 부표·그물·스티로폼 등 폐어구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해안가 행사·관광지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캠페인을 상시화할 필요가 있다. 수거된 쓰레기의 양상과 경로를 분석해 유형별 저감대책을 세우고, 도민·관광객이 참여하는 분리·수거 시스템 정착도 시급하다.  외국에서 흘러오는 쓰레기에 대해서는 정부 차원의 해결 노력과 공동 모니터링이 해답이 될 것이다.

이미 바다로 흘러든 쓰레기를 신속하게 건져내는 수거 역량도 키워야 한다. 예산 부족으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이 중단되는 일이 반복돼서는 안된다. 상시 점검을 위해 인력과 수거 장비, 작업선을 늘릴 필요가 있다. 지자체와 민간이 협력하는 '바다 청소의 날' 같은 정례 프로그램도 해양환경을 지키는 사회적 공감대를 넓힐 것이다. 현재는 물론 미래세대를 위해서도 제주바다 생태·경관의 중요성을 잊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