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병원과 서귀포의료원은 22일 오후 제주오리엔탈호텔에서 제주형 중증응급 이송·전원 및 진료 협력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AI 기술을 활용한 중증 응급환자 이송체계 구축 사업 현황을 공유하고 의료기관과 지자체, 소방, 학계 등 유관기관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김중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AI 기반 심전도 분석 디지털 디바이스(ECG Buddy)'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김 교수는 "ECG Buddy 통한 심전도를 분석한 결과, 포괄적이고 직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오진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놓치면 안 되는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송성욱 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장이 '심혈관계 응급 이송체계 고도화를 위한 AI 기반 심전도 도구 적용'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송 센터장은 "병원 전 단계에서 유도 심전도를 분석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된다"며 "AI 분석 결과를 통해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으로 바로 이송되면 환자의 예후가 크게 개선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워크숍에서 양준환 제주소방서 119재난대응과 소방장이 '병원 전 단계 AI-ECG 적용 119구급대 사용 경험 및 피드백'을, 홍원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팀장은 'AI-ECG 활용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을 발표했다.

최국명 제주대학교병원장은 "AI 기반 중증 응급 심혈관계 질환자 이송체계 구축 사업은 '제주형 중증 심혈관계 질환자의 골든타임 확보 프로젝트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전예린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