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후속 조치로 국비 300억원이 투입될 '4·3 아카이브 기록관(이하 4·3 기록관)' 건립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반영의 후속조치로 내년 정부 예산안에 기본계획 용역비 2억원이 편성되자 제주사회의 4·3 기록관 건립 방향 논의도 시작됐다. 지난 25일 전문가 토론회에선 기존 별도의 건물 신축보다 현 제주4·3평화공원 내 평화기념관(사료관) 기능 보강 의견이 제시돼 공론화가 필수다. 

의견 차이를 보인 건립 위치, 운영 주체와 달리 4·3 기록관 성격에 대해서는 화해·상생 정신과 평화·인권의 가치를 미래 세대까지 전승하는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모아졌다. 단순한 기록물 보존·전시가 아닌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을 결합한 '라키비움(Larchiveum)' 개념이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취지에 맞게 4·3의 가치를 세계인과 공유할 전시·교육·국제교류 등 복합 허브의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토론회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된 만큼 기본계획 용역의 방향을 제시할 과업지시서 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립 부지 선정, 운영 주체보다 기록관을 채울 콘텐츠가 성패를 좌우할 첫 단추이기 때문이다. 또 내년 평화공원에 문을 열 4·3트라우마센터, 4·3국제평화문화센터와의 유기적 체계 구축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4·3 평화공원이 세계 평화와 인권의 성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과업지시서의 첫 단추를 잘 꿰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