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단체들, 도지사에 역사 왜곡 조치 요구

제주4·3 당시 벌어진 민간인 학살에 앞장섰던 함병선 제2연대장의 공적비가 제주에서 발견되면서 4·3 관련 단체들이 강하게 반발, 단호한 조치에 나설 것을 제주도에 요구하고 나섰다.

제주4·3범국민위원회와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16일 성명을 내고 “함병선, 박진경 비석에 올바른 안내판을 설치하라”고 촉구했다.

함병선 연대장은 1948년 12월 제주에 주둔해 있던 제2연대의 연대장으로 부임해 대규모 민간인 학살 작전을 지휘한 인물이다.

4·3 단체들은 “4·3 학살의 주역들이 국가의 공적 공간에 추모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특히 학살의 역사가 여전히 남아있는 제주섬에 그들ㅇ들 추모하는 비석들이 버젓이 존재한다는 것은 4·3 왜곡의 또 다른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동안 4·3단체와 시민단체들은 박진경 대령 추모비 등에 대해 객관적 사실을 적시한 4·3 안내판 설치를 요구해 왔다”며 “제주도의회에서도 관련 청원을 채택해 집행부에 요구했지만 몇 년째 검토 중인 상태로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4·3 단체들은 “4·3에 대한 왜곡과 폄훼는 다양한 관점의 존중이라는 마사여구로 미화되서는 안된다”면서 “오영훈 도정은 이제 말의 성찬이 아닌 4·3 왜곡에 대한 구체적인 행정행위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