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과 마찬가지로 제주의 '사교육 열풍'도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저출생으로 초·중·고등학생 숫자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사교육비는 되레 늘어 학부모들의 가계 부담이 적지 않다. 정부와 제주도교육청이 매년 사교육 경감 대책을 내놓지만 현장의 반응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만큼 거꾸로다. 소득수준에 따라 학력 격차를 심화시키는 '교육 불평등' 및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구조적 모순마저 나타나고 있다.
도교육청이 최근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 분석 결과 작년 초·중·고생 사교육 참여율은 75%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교육청이 매년 공교육 정상화의 경감책을 발표했지만 상승세가 무섭다. 지난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만 해도 38만 4000원으로 2년 새 6만 9000원 오른 것이다. 특히 사교육 참여 학생만 집계하면 1인당 사교육비가 51만 2000원으로 첫 50만원대를 넘었고, 고교생이 63만 5000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했다.
제주 학생 10명 중 7명 이상이 사교육에 의존한다는 것은 '공교육 붕괴'와 다르지 않다. 자녀 2명을 학원에 보내려면 매월 100만원 이상 지출해야 해 등골이 휜다는 학부모들의 하소연이 늘고 있고, 결국은 저출산 심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과감한 재정 투자 등 교육청의 공교육 강화에 문제점이 없는지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 가능하다면 방과후 프로그램에 사교육 콘텐츠를 도입해 양질의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공교육 내실화 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