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산업은 관광과 함께 제주경제를 지탱하는 생명산업이다. 최근 몇 년간 경영비를 포함한 조수입이 올해 첫 5조 원을 넘어설만큼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1차산업 정책에 대한 도민 체감도는 하락해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 그제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한 더불어민주당 한권 도의원(일도1·이도1·건입동)에 따르면 제주도의 2025년 도민 정책 체감도 조사 결과 1차산업 분야는 66.4점으로 1년 전 71.6점보다 하락했다.

도민 체감도 하락의 요인으로 한 의원은 공직사회의 정책 역량 부족을 꼽았다. 작년 행정사무감사 당시 자신이 제안한 농지 집적화와 경영 규모화를 소홀히 한 결과 국정과제 선점 기회를 놓쳤다고 주장했다. 사실 한 의원의 지적에 공감하는 도민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기후변화로 1차산업 전 분야에서 피해가 확인되고 있지만 뚜렷한 해법은 나오지 않고 있다. 또 1차산업 원물의 고부가가치화로 소득을 높일 가공산업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실정이다.

단순한 1차산업의 원물 판매로는 생산량 증감에 좌우되는 시장 변화에 취약하기에 가공산업 육성은 필수다. 특히 기후변화에 적응할 1차산업 기술 보급과 교육, 적절한 인센티브 등 적극적인 정책 개발이 중요하다. 여기다 경영비 감소를 위한 필수 농자재 지원, 종사자의 눈높이에 맞는 정부의 이상기후 피해 지원책 등 안전망 구축도 시급한 과제다. '지속 가능한 1차산업'을 목표로 생존 위기에 대응할 정책 역량이 강화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