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연 서귀포시 통장연합회장
서귀포시 도시 우회도로를 둘러싼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환경 훼손과 절차 문제를 걱정하는 시민들의 우려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동시에 도심 교통 문제 역시 더는 미룰 수 없는 현실이라는 점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
중앙로터리 일대의 상습 정체는 서귀포시민이면 누구나 체감하는 문제다. 출퇴근길 지연은 물론 응급차량이나 통학 차량 이동이 막히는 일도 반복되고 있다. 도시 우회도로는 이런 부담을 분산하기 위해 이미 1960년대부터 도시계획에 포함돼 온 과제이자 우리 세대가 해결해야 할 숙원 사업이다.
반대 의견의 핵심인 솔숲 훼손과 환경영향평가 회피 문제도 확인이 필요하다.
전문가 자문 결과 해당 소나무숲은 수령 1970~1980년으로 파악됐고, 전체 100그루 중 41그루는 현장 보존, 59그루는 이식할 예정이라고 한다.
주민 의견을 반영한 노선 조정도 중요한 변화다. 올해 많은 서귀포시민들이 40년간 규제해왔던 기존 도시계획도로 노선으로 추진해 달라는 의견을 제출했고 제주도는 이를 반영해 국토부 설계방침 승인까지 완료했다고 한다.
이는 행정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아니라 40여년간 재산권 등의 권리를 행사하지 못해 피해를 입던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의미 있는 결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우회도로는 사람과 자연 중심의 도시 교통환경으로 전환하는 사업이다. 도심 혼잡 해소는 물론 시민 안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 사실에 기반한 논의와 보완을 통해 이 사업이 보다 안전하고 환경적으로도 더 나은 방향으로 완성되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