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 이대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위기의 감귤산업에 대한 육성책이 제시돼 관심을 끌고 있다.생산농가들이 중심인 제주감귤농업연구회의 감귤 연중생산체계등 실질적인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음이 그것이다.

 제주감귤농업연구회는 엊그제 제주도청 기자간담회를 통해 감귤생산체제 개선과 함께 감귤류관련 수입관세의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에 투자할 것 등을 당국에 촉구하고 나섰다.위기를 맞고 있는 감귤산업의 재활을 위해 농민연구모임이 나름대로의 대안을 강구하고 나섰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제주감귤농업연구회가 제시하고 있는 감귤육성책은 한해 걸러 문제가 되고 있는 감귤과잉생산에 따른 생산조절을 비롯한 감귤의 대외경쟁력강화,비상품처리등 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다.작형전환과 휴경제의 도입,고품질의 우량육묘 생산과 신품종 도입을 통한 연중공급체제로의 구조조정을 제시하고 있음이 그것이다. 특히 경작형태의 전환과 휴경제 도입은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연중출하 체제에 의한 생산조절의 효과는 물론 고질적인 해걸이 방지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서다.물론 작형전환의 경우는 재정적 부담이 따르고,휴경제 또한 과거 열매솎기 경험 등에 비춰 그 실행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하지만 정부와 자치단체,그리고 농·감협의 투자가 뒷받침된다면 과감하게 도입 해볼만한 제도라고 생각된다.감귤농업연구회도 이를 의식,정부예산외에 수입오렌지와 기타감귤류에 부과되는 관세를 감귤산업 경쟁력강화사업에 전액 투자할 것을 주장하고있다.다만 10만톤 이상 처리가능한 감귤 가공산업의 육성문제는 그것이 투자효과와 수익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이다.비상품감귤의 처리를 위한 것이라고는 하나 오히려 과잉생산을 부추길 소지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감귤산업이 사양산업이란 막말까지 나오고 있음이 작금의 실정이기는 하다.하지만 감귤산업은 여전히 제주의 생명산업이다.감귤농업연구회가 감귤육성책을 촉구하고 나선 것도 이때문이다.과감한 구조조종으로 우리의 생명산업을 되살리자는 목소리에 도정이 귀를 기울여야 한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