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은 역대 선거사상 최대의 접전을 벌인 끝에 막을 내렸다. 선거결과를 놓고 보면 국민들이 염원했던 새로운 정치문화와 정치풍토 정립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게 지배적이다. 전반적인 선거양상은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금품 살포와 흑색선전 등으로 혼탁했고,두터운 지역주의의 장벽을 깨지 못했다. 그나마 기성 정치인의 추락과 '386세대'의 약진에서 희망이 보이기도 했다. 또한 선거사상 처음으로 도입된 납세 병역 전과 등 후보검증제도는 유권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혔다. 특히 총선시민연대 등 시민단체가 벌인'유권자 참여운동은 새로운 선거문화의 가능성을 제시 실천했다.

총선시민연대는 3개월간의 낙천 낙선운동을 펼쳐 일단 성공적이란 평가를 받았다. 총선연대가 지목한 낙선대상자 86명 가운데 59명(68.6%),중점 낙선대상자 22명 가운데 15명(68.2%)이 낙선되는 등 대단한 결실을 거뒀다. 낙선운동은 최대의 승부처인 수도권을 비롯해 호남 충청권의 경합지역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텃밭'인 영남권에선 별다른 변수로 작용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선연대가 수도권의 경우는 서울 11명을 포함한 20명 가운데 19명이 떨어지는 엄청난 파괴력을 보였다.

이번 선거에서 총선연대의 유권자 참여운동은 선거문화의 중심을 정치인에서 유권자로, 관객에 머물렀던 유권자를 주인으로 자리잡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정치권에 대한 시민사회의 도전으로 정치가 더 이상 기득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점을 양쪽 모두에 인식시킴으로써 정치개혁의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총선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가 낙천 낙선운동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 기준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점이나 내용상 실수가 있었던 점등은 깊이 반성하고 개선해야 할 대목이다.

총선연대의 유권자 참여운동은 일회성으로 끝내서는 안 된다. 낙천 낙선운동에서 더욱 발전된 당선운동 등 보다 효과적이고 내실 있는 운동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유권자 혁명'을 향해 깃발을 드높인 총선연대가 앞으로도 정치권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활동을 강화할 것을 기대한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