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 제주축제탐방 제주황금도새기축제 제주황금도새기축제는 제주의 특산물인 제주돼지를 대내ㆍ외에 널리 알리고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매년 5월에 열리는 지역특산물 축제다. 이 축제의 주 테마가 되는 제주돼지는 13세기 고려시대 원나라 지배 시기에 말, 소 등 다른 가축과 함께 돼지가 제주도에 도입되면서 사육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 돼지들은 오늘날 ‘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2.25 15:31
-
28. 제주축제탐방 서귀포칠선녀축제 서귀포칠선녀축제는 중문지역에 위치한 천제연폭포에 옛날로부터 내려오는 칠선녀전설을 테마로 하여 지역주민을 화합시키고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민속문화축제다. 이 축제의 주 테마가 되는 칠선녀는 천제연폭포에 별빛이 쏟아지는 여름밤이면 천상의 선녀들이 우렁찬 폭포의 굉음을 잠재우는 은은한 옥피리를 불며 내려와 목욕을 했다는 전설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2.18 17:25
-
27. 제주축제탐방 도두오래물ㆍ수산물대축제 도두오래물ㆍ수산물대축제는 2000년에 연합청년회 친선경기 도중 동료가 사고를 당하자 이를 돕기 위해 열린 ‘한치1일호프집’이 대성황을 이루게 됨으로써 청년이 뭉치면 못할 것이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이를 계기로 지역문화와 산업을 매개체로 해, 주민의 화합과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시작한 축제다. 이 축제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2.11 15:44
-
서귀포예술축제는 서귀포시 문화예술인들의 역량을 대내외에 과시하고 16만 서귀포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10월 탐라문화제의 일환으로 열리는 예술축제다. 이 축제의 주 테마는 서귀포시 지역에 예부터 전해 내려오고 있는 걸궁놀이, 노동요 등의 민속과 서귀포의 문학, 미술, 무용, 음악, 국악, 사진 등의 예술활동이다.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2.04 14:45
-
탐라전국합창축제는 제주도의 다양한 문화 중에서 오늘날까지 가장 독특한 형태로 남아있는 제주어를 주제로 매년 8월에 열리는 음악축제다. 이 축제의 주 테마가 되는 '합창음악'은 음정이 틀린 가락을 2인 이상의 서로 다른 파트가 함께 부르는 음악장르를 말한다. 이러한 합창음악은 중세기에 유럽의 단성음악(단선률 음악)에서 출발하여 교회에서 맨 처음 불리기 시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1.27 15:51
-
24. 제주축제탐방 덕수리전통민속재현축제 덕수리전통민속재현축제는 잊혀져가는 제주문화를 보전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매년 10월 서귀포시 덕수리마을에서 개최되는 전통문화축제다. 이 축제의 주 테마는 약 400년의 설촌 역사를 갖고 있는 덕수리마을에 예로부터 전승돼 내려오고 있는 ‘방앗돌 굴리는 노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1.20 17:12
-
지난해 서울서 열린 소비자 한마당축제 ‘성황’ 축제 상표화 ‘스페인 토마토축제’ 벤치마킹을 제주감귤축제는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널리 홍보하는 제주도의 가장 대표적인 산업축제다.축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1.13 14:47
-
서귀포유채꽃국제걷기대회는 매년 3월 말 노란 유채꽃이 만발한 아름다운 서귀포시 일원을 한·중·일 3개국 사람들이 함께 걷는 지역특성화 축제다. 이 축제의 주 테마가 되는 걷기운동은 20세기 초 네덜란드 아루햄(Aruhem)에서 부레다(Breda)까지 4일간 행해졌던 군대행진에서 시작한다. 군대행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1.06 14:31
-
용연야범재현축제는 제주의 선인들이 한시를 짓고 시조를 읊으며 주연을 베풀어 노래와 춤을 추었던 옛 문화를 재현시킨 전통음악축제다.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0.30 17:07
-
20. 제주축제탐방 (17) 4·3문화예술축전 암울한 제주 현대사 문화예술로 승화 1994년 제주민예총 4·3예술제로 시작…올해 14회 맞아 ‘다크 투어리즘’으로 발전 세계인이 찾는 축제로 만들어야 4·3문화예술축전은 제주4·3이라는 암울했던 역사적 사건을 문화예술적인 방법을 통해 표출함으로써 화해와 상생의 새 희망을 열어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0.23 15:59
-
[고승익의 축제이야기] 19. 제주축제탐방 (16)최남단방어축제방어 맛에 빠지고 해양문화도 즐기고지역특산물 활용 체험축제…올해 7번째 맞아부족한 예산 확보•항공기 좌석 확보 등 해결 과제 최남단방어축제는 우리나라 최남단 모슬포항에서 제주특산 방어를 주테마로 매년 11월 개최되는 특산물축제다. 방어는 몸이 긴 반추형의 난류성 어종으로 전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0.17 10:24
-
하얀 모래밭에서 즐기는 낭만의 여름 주변 관광지·호텔 등 연계 휴가 즐기는 관광객 참여 높아 예산 확보·질높은 프로그램·다양한 먹을거리 개발 등 과제 표선해변백사대축제는 제주에서 가장 넓은 하얀 모래 해변인 표선해수욕장에서 여름휴가철에 펼쳐지는 해변축제다. 축제가 열리는 표선해수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0.09 16:54
-
[고승익의 축제이야기] 17. 제주축제탐방 ⑭탐라국입춘굿놀이제주 전승 새봄맞이 풍속 재현탐라국시대부터 이어온 안녕·풍농 기원 굿판전통·현대성 조화이룬 대동축제로 거듭나야 탐라국입춘굿놀이는 청동기에 해당하는 탐라국시대부터 전승돼온 새봄맞이 세시풍속을 현대에 재현시킨 제주고유의 민속문화축제다. 축제의 주테마인 탐라국입춘굿은 탐라왕이 몸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10.03 09:59
-
[고승익의 축제이야기] 16.제주축제 탐방 ⑬제주마축제제주마, 제주인과 섬의 역사를 만들다옛부터 중요한 운송·농업수단인 조랑말 주제제주마 육성·관광산업 연계 학술대회 등 특징주최기관 너무 많고 프로그램 한계 극복 과제 제주마축제는 제주고유의 조랑말을 테마로 매년 9월중순에서 10월초 관광객과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제주의 대표적인 섬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09.19 09:49
-
[고승익의 축제이야기] 15. 제주축제 탐방 ⑫제주마라톤축제스포츠•관광 함께 하는 축제아마추어 선수 대상 첫 마라톤축제 1995년 1회 대회 개최타지역 참가자 인센티브•다양한 제주체험 프로그램 등 필요 제주마라톤축제는 현대 스포츠에서 가장 보편적인 운동으로 자라잡고 있는 달리기를 주제로 제주시에서 매년 6월초에 개최되는 축제다. 마라톤은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09.12 09:43
-
이호테우축제는 2003년 7월 이호동주민자치위원회에서 지역에서 옛날부터 행해졌던 멸치잡이 어로행사를 재현하자는 의견에 따라 2004년 주민자치센터 전국박람회 우수사례 공모전에 참가하면서 열리게 된 제주전통문화 재현의 바다축제다. 축제의 주테마인 테우(떼배)는 오늘날에는 삼나무로 만들고 있으나 예전에는 한라산 고지대에서 자라는 구상나무의 굵은 줄기를 잘 다듬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09.04 17:20
-
제주억새꽃축제는 이른 봄 개최되는 제주왕벚꽃축제와 더불어 자연의 꽃을 소재로 매년 10월 하순 펼쳐지는 제주 가을의 대표적인 축제다. 축제의 주 테마인 억새는 오래전부터 제주야산에서 잘 자라는 다년생 식물로 제주선인들은 해녀들이 물질할 때 쓰는 망사리, 여자들이 신었던 꽃신, 불을 오랫동안 보관하는데 쓰는 화승(억새꽃으로 제작), 억새로 만든 가리개의 일종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08.28 18:15
-
[고승익의 축제이야기] 11. 제주축제 탐방 ⑧제주국제관악제 탐라문화제는 지난 1962년에 순수예술제인 ‘제주예술제’로 시작되어 해마다 10월 첫째 주 금요일부터 6일 동안 열리는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문화축제의 하나다. 한국예총제주도지부가 주최한 제주예술제는 제1회부터 3회까지 개최됐으나 1965년 제4회부터는 향토문화축제로 바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08.22 10:09
-
제주국제관악제는 매년 8월 국내외 관악팀이 참가, 제주해변공연장을 중심으로 도내 일원에서 열리는 제주의 대표적인 음악축제다. 축제의 주테마가 되는 ‘관악’은 1950년대 우리나라가 정치·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웠던 시절 제주에서 연주되기 시작했다. 관악은 둥둥 울리는 북소리, 힘찬 나팔소리와 함께 연주됨으로써 씩씩함과 힘찬 기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08.14 14:34
-
한라산청정고사리축제는 야산에서 자라나는 식용식물을 테마로 열리는 제주도의 자연을 대표하는 생태축제의 하나다. 고사리축제의 주테마가 되는 ‘고사리’는 그 잎이 ‘양’의 치아를 닮았다고 하여 양치식물로 일컬어진다. 우리나라에는 360여종에 달하는 각종 고사리가 들판에서 자라고 있는데 이 중 약 80%를 제주도의 들판에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7.08.07 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