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원로 제언
제주 사회에 중구난방의 주장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자기 검열을 하지 않은채 개인이나 집단 이익만을 요구하는 발언들이 도를 넘어 사회적 고민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겠다. 절제력을 잃은 주장들은 공동체의 응집력을 자랑해온 제주이기에 더욱 강하게 부정적으로 반사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해에 집착한 주장들은 의사표시 자체로 끝나지 않는다. 좌절되거나 묵살될 경우 상대방을 비난하고 모함하는 역기능으로 포장되어 지역사회의 역량을 소모시키게 마련이다.
왜 제주는 ‘비난하는 사회’로 지목되고 있는가.
우선은 사회의 변화와 사람들의 의식 사이에 괴리가 존재하고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사회는 다양성의 사회, 다문화의 사회로 급진전하고 있는데 비해서 도민들의 의식은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 하는데 미흡하다. 세계는 지식정보 사회로 정착되고 있는 흐름인데 제주는 농경사회, 산업사회의 유업을 계속하고 있고, 산업 의식간의 충돌은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음에는 지방자치 이후 행정의 권력이 확대되고 있으나 행정 내부의 민주화나 분권화가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특별자치도의 출범은 기초자치제의 폐지로 기층 분권과 민원 해결의 분담 역량을 상실했다. 더군다나 공직 사회의 의식 내면에는 관료 우월주의 요소들이 잔존하여 민원 소통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특히 대화문화의 실종은 ‘비난사회’를 조장하는 큰 원인이다.
민주화 이후 사회 현상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집단력, 물리력에 의존해 주장을 관철시키려는 풍조이다. 말이 안 통하고 논리도 소용없다.
일본 도쿄대 요로다케시 교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소통이 안되는 벽이 생기게 마련인데 이것을 가리켜 ‘바보의 벽’이라 했다. 인간의 뇌는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선택적 인지’를 한다는 것이다 (『바보의 벽』).
제주 사회에 ‘바보의 벽’현상이 너무 심하다. ‘바보의 벽’을 허무는데는 대화문화를 성숙시켜야 한다. 대화문화는 타협과 협상에서 발전한다. 협상의 기본은 커뮤니케이션이다. 쌍방이 양보를 통해 절충점에 맞닿아야 협상은 이뤄진다. 윈-윈의 패러다임이 중요하다.
해결 방법은 민원에 대한 공공적 접근을 강화하는 것이다. 폭발하는 민원 접근에 대한 행정력이 부족하다면 주민자치위원회 등을 민원 수렴 기반으로 육성해나가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즉 생활자치의 활성화를 통해 ‘비난 풍토’를 ‘비판 문화’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비난’은 흠잡기이지만 ‘비판’은 의제에 대한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반론을 통해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건전한 비판은 공동체에 대한 믿음을 확인시키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대화문화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과 공공투자의 빈약함도 시정되어야 한다. 대화는 냉소주의를 참여로 유인하는 지름길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드워드 카는 “그 어느 것에서도 의미를 찾지 못하는 냉소주의자보다는 다소 공허해 보일지라도 낙관주의자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고 했다(『역사란 무엇인가』).
성숙한 민주사회는 사회 갈등을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공동체의 역동성을 창출하고, 구성원의 낙관적인 의식을 키워주는 사회이다.
<이문교·제주관광대학 초빙교수, 방송학>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