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종묘방류 극대화 방안은 없나
수산자원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사람들은 밭에 씨를 뿌려 농산물을 수확하듯이 바다에도 씨를 뿌려 수산물을 거둬들이는 방법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했다.
해녀들이 수십년의 경험을 기반으로 비춰 바다 밭을 일궈오기는 했으나 여전히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갯녹음, 인간에 의한 바다생태계 훼손 등으로 급속도로 물건이 줄어드는 바다를 관리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인위적으로라도 바다에 종패를 뿌려 가꿔가야만 하는 현실에 직면한 것이다. 과학적인 연구조사에 따른 체계적인 수산종묘 방류, 자율적으로 어장을 관리하고 가꾸려는 어업인들의 선진의식이 요구되고 있다.
△ 종묘방류 효과조사 시급 
▲갯녹음 현상이 발생한 태흥1리 바닷속.
인공어초를 투하해 해조류, 어패류가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연안에는 돌돔·전복·오분자기 등 정착성 종묘를 뿌리기 시작했다. 최근 들어서는 사업비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05년 14억6000만원을 투입, 전복·돌돔 등 161만2000미를 방류했으며 2006년에는 전년보다 사업비 53%를 증액, 22억4000만원을 들여 256만6000미를 마을어장에 뿌렸다.
올해 역시 이번 연안어장 조성사업으로는 인공어초 시설 및 해중림 조성사업에 87억원을 투입해 수산 동·식물의 산란·서식환경을 조성하는가 하면 수산종묘매입방류사업과 어패류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투석사업 등에 각각 23억을 투입한다.
또 성산읍 섭지코지 해안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소규모바다목장화 조성사업에 10억원을 투입, 수산종묘 등을 방류하는 것은 물론 대규모 바다목장화 사업 등에서도 종묘 방류가 잇따를 예정이어서 효과적인 사업을 위한 과학적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수십억원의 종묘를 방류하는데 따른 효과 연구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어떤 바다는 성공을 거두기도 하지만 차귀도 앞바다 등 어떤 바다는 아무리 뿌려도 효과가 없다는 어업인들의 푸념이 이어지고 있다.
수십억원의 종패가 마을어장에 뿌려지지만 방류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연구결과가 제시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어느 곳에 뿌려야 더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느정도의 수익을 보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돼야 했지만 종패방류사업에 대한 효과평가가 이뤄지기 시작한 것은 2년전인 2005년에 불과하다.
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종패방류사업 효과평가를 위해 어장 16곳을 집중연구어장으로 지정, 방류종묘의 생산량과 혼획률, 회수율 연구에 도입했지만 결과물이 나오려면 적어도 2008년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매해 수십억원의 혈세를 바다에 뿌리기만 할 것이 아니라 종묘방류 사업의 체계적인 연구조사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 불법 포획에 수산종묘사업도 퇴색
![]() | ||
| ▲알루미늄 표시판을 부착한 전복. | ||
현재 수산자원보호령에 따르면 소라(6월1일∼8월31일), 전복(10월1일∼12월31일)은 일정기간 포획·채취가 금지돼있으며, 포획기간이라 하더라도 일정 크기 이하의 소라(7㎝이하), 전복(10㎝이하), 오분자기(4㎝이하)는 잡아서는 안된다. 또 소라 채포 총어획량(TAC)을 초과, 유통하는 행위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마을어장 내에서 포획이 금지된 규격이하의 소라 등을 잡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각종 정책도 빛을 발하지 못하는 등 퇴색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해 마을어장 중심으로 규격미달 소라포획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1일 생산량 1만300㎏의 10.5%인 1080㎏이 포획이 금지된 규격미달의 소라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2005·2006년 소라생산현황에 따르면 소라 채포 총어획량(TAC)을 초과, 생산한 어촌계가 전체 100곳 중 16곳에 달하는가 하면 허용량을 넘어선 채 배정물량의 120%까지 과대생산한 어촌계도 13곳에 이르는 등 어업인들의 자원보호 의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포획금지기간에 소라 등을 잡는가 하면 규격 이하의 소라, 전복을 유통시킨 사례도 적지 않게 발견되고 있다.
최근만 해도 포획금기간에 소라 10㎏을 잡다가 제주해경에 덜미가 잡히는가 하면 판매가 금지된 규격이하의 소라, 전복을 보관했던 횟집이 적발되는 등 올 들어서만 19건이 적발되고 있어 어업인들의 의식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 어업인 자율관리만 살길
황폐해진 어장을 되살리기 위해 매해 연안어장에 투입되는 수십억, 수백억원의 혈세가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어민들의 선진적인 자율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제주에서 개최된 자율관리어업전국대회에서 발표된 경북 울진군 죽변 자망자율공동체의 사례는 어민들의 자율관리가 어떠한 힘을 발휘하는지 증명했다.
이들은 자율적으로 어획기간을 단축하고 그물코를 늘리는 등 자정노력으로 연간 4000만원∼5000만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
2004년 40여명이 자율관리 공동체를 구성, 그물양을 절반으로 줄이는가 하면 그물에 어민이름 등을 적는 어구실명제로 불법어업과 폐어구 방치를 원천적으로 막았다. 대게가 성장하도록 기다리기 위해 법정금어기도 11월에서 12월15일까지 늘리는 등의 피나는 노력이 이어졌다. 그 결과 2006년 대게 어획량이 전년에 비해 50%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자율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도내에서도 지난해 도내 6개 자율관리어업공동체가 전국 우수 공동체로 선정, 예산을 지원받는 등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먼저 잡는 사람이 임자라는 식의 어업행태는 더 이상 용납될 수 없음을 깨닫고 자율적으로 어장을 관리하려는 어업인들의 노력이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특별취재반=조성익 사진부 기자, 박미라 자치1팀 기자, 김진수 도민기자>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