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31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언론의 중립성이나 공정성은 꼭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박래부 한국언론재단 이사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유 장관은 “신 차관이 박 이사장과 한국일보에서 같이 근무를 했던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친분으로 편하게 이야기를 한 것 같다”며 “내 입장에선 이젠 빨리 좀 매듭이 지어졌으면 생각한다. 정부가 바뀔 때 이렇게 기관장 사퇴 문제 등으로 설왕설래한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마음이 아프다. 나도 이 문제로 홍역을 좀 치렀다. 그대로 자리를 지키겠다는 분들도 있고, 아직까지도 굉장히 혼란스러운 상태”라고 토로했다.
역시 신 차관의 발언으로 논란이 된 KBS 사장 해임권에 대해서는 “흑과 백으로 얘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다. 법적인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고 의견이 분분하다. KBS의 상황, 경영진의 문제, 공공성 등에 대한 판단으로 청취자들이 생각을 하는 게 어떤가 싶다”고 즉답을 유보했다.
유 장관은 “언론이 하나의 권력이라든지 어떤 세력에 의해서 장악이 된다든지, 한 쪽으로 쏠림이 생긴다는 것 자체가 부정적이다. 언론사 기자나 PD들은 사장 말 잘 안 듣는다고 사장들이 이야기한다. 어떤 흐름에 의해서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보지만 언론 종사하시는 분들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언론장악은 절대 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낙하산 인사를 많이 한다고 하지만 전문성이 있기 때문에 일을 하는 모습을 지켜본다면 문제는 해답이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상파TV 중간광고, 간접광고 허용 논란이 크다. 유 장관은 “실제 제작을 하는 분들 입장에선 광고시장을 열어줘야 효과가 더 있지 않겠는가 한다. 금방 결정할 문제는 아니고 상당한 논의를 한 다음에 결정돼야 할 일이다”고 답했다.
또 한국관광공사, 한국방송광고공사 등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구조조정을 놓고는 “완전히 부처를 통폐합 한다든가 기관을 없애는 경우는 없다. 관광공사가 골프장이나 면세점을 경영하는 것 등을 관에서 하는 게 좋은거냐 민간에서 하는 게 좋은거냐 따져보는 입장이다. 기능 재조정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촛불시위를 계기로 정부와 포털업체가 대립하는 듯한 분위기다. 유 장관은 “1년 동안 포털사이트가 불법복제로 얻은 이득이 700억 정도 된다. 영화시장으로 가야 할 돈이다. 이런 것들이 불법이라고 생각도 안 하고 저질러지고 있는데 마치 정치적인 피해자처럼 얘기되는 건 답답하다”고 지적했다.
김용호기자 yhkim@newsis.com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31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언론의 중립성이나 공정성은 꼭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박래부 한국언론재단 이사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유 장관은 “신 차관이 박 이사장과 한국일보에서 같이 근무를 했던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친분으로 편하게 이야기를 한 것 같다”며 “내 입장에선 이젠 빨리 좀 매듭이 지어졌으면 생각한다. 정부가 바뀔 때 이렇게 기관장 사퇴 문제 등으로 설왕설래한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마음이 아프다. 나도 이 문제로 홍역을 좀 치렀다. 그대로 자리를 지키겠다는 분들도 있고, 아직까지도 굉장히 혼란스러운 상태”라고 토로했다.
역시 신 차관의 발언으로 논란이 된 KBS 사장 해임권에 대해서는 “흑과 백으로 얘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다. 법적인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고 의견이 분분하다. KBS의 상황, 경영진의 문제, 공공성 등에 대한 판단으로 청취자들이 생각을 하는 게 어떤가 싶다”고 즉답을 유보했다.
유 장관은 “언론이 하나의 권력이라든지 어떤 세력에 의해서 장악이 된다든지, 한 쪽으로 쏠림이 생긴다는 것 자체가 부정적이다. 언론사 기자나 PD들은 사장 말 잘 안 듣는다고 사장들이 이야기한다. 어떤 흐름에 의해서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보지만 언론 종사하시는 분들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언론장악은 절대 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낙하산 인사를 많이 한다고 하지만 전문성이 있기 때문에 일을 하는 모습을 지켜본다면 문제는 해답이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상파TV 중간광고, 간접광고 허용 논란이 크다. 유 장관은 “실제 제작을 하는 분들 입장에선 광고시장을 열어줘야 효과가 더 있지 않겠는가 한다. 금방 결정할 문제는 아니고 상당한 논의를 한 다음에 결정돼야 할 일이다”고 답했다.
또 한국관광공사, 한국방송광고공사 등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구조조정을 놓고는 “완전히 부처를 통폐합 한다든가 기관을 없애는 경우는 없다. 관광공사가 골프장이나 면세점을 경영하는 것 등을 관에서 하는 게 좋은거냐 민간에서 하는 게 좋은거냐 따져보는 입장이다. 기능 재조정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촛불시위를 계기로 정부와 포털업체가 대립하는 듯한 분위기다. 유 장관은 “1년 동안 포털사이트가 불법복제로 얻은 이득이 700억 정도 된다. 영화시장으로 가야 할 돈이다. 이런 것들이 불법이라고 생각도 안 하고 저질러지고 있는데 마치 정치적인 피해자처럼 얘기되는 건 답답하다”고 지적했다.
김용호기자 yhkim@newsis.com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