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홍·전 제민일보 편집국장>
![]() | ||
물론 그것은 제대로 정립된 이론이 아닙니다. 극히 실무적입니다. 어느 것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기사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특별히 강조하고자 함입니다.
'해군기지'(이른바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관련기사도 저는 그런 관점으로 읽습니다. 제민일보는 지난달 28일과 29일 이틀에 걸쳐 이른바 '해군기지' 관련기사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정부-제주도 해군기지 MOU체결' 소식과 함께, 사설 해설 가십 등 기사의 형태를 망라하여 보도합니다.
'여론의 반영'이란 측면에서 그 보도의 양(量)은 손색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기사를 제외하고, 극히 '제한적'이라는 인상을 받습니다. 이른바 '해군기지'건설을 기정사실화한 듯한 느낌도 괜한 트집이 아닙니다.
어쨌든 '기본협약서'가 체결된 이상 그것을 기정사실화한다고 하여 탓할 일은 못됩니다. 그러나 그렇게 될 경우, 이른바 '해군기지'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자칫 소외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결코 균형적이지 않습니다.
'여론의 형성'을 위한 보도형태에도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이른바 '기본협약서'의 실체를 분명히 하기 위해 그것의 전문(全文)을 공개해야 합니다. 독자들의 해석을 위해서도 그래야만 합니다. 독자의 해석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적 틀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른바 '기본협약서'의 명확한 의미규정도 필요합니다. 그것이 이른바 '해군기지'건설을 위한 정부와 제주도간의 기본 약속임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의 치열한 갈등의 과정을 되돌아볼 때,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과정상의 의미'를 분명히 하는 것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이른바 '해군기지'와 '공군기지' 관계도 좀더 선명해야 합니다. '해군기지' 기본협약서를 체결하면서 어째서 '공군기지'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는지, 그것에 대한 설명이 부족합니다. 그것은 '무상양여냐' '무상사용이냐' 논란이 일고 있는 알뜨르 비행장부지 문제의 소재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기본협약서'를 체결하고 난 다음의 '김태환지사의 움직임'도 그냥 지나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짜여진 일정에 따라 그럴 수밖에 없다고 하지만, '해외출장'과 '기본협약서 체결일정'이 어찌하여 그렇게 '기막히게 맞아떨어졌는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동안의 갈등의 과정을 의식했다면, '기본협약서'체결 후 곧바로 내려와 도민에게 설명하는 것이 공직자의 바른 자세입니다. 김지사에겐 일정을 조정할 의지와 권능이 없었는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어쩌면 그것 모두를 거론하는 것은 본란의 영역을 넘어서는 일인지 모릅니다. 그러나 '도정책임자의 움직임'은 분명 기사거리입니다. 그것이 지역사회에 던지는 의미는 적지 않습니다. 한 줄의 가십기사로는 부족합니다.
이른바 '해군기지'를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 하는 것은 각자의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문은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된 사안일수록, 단편적인 부분들의 양화(量化)된 내용보다는, 구조화된 전체로서의 메시지에 관심을 둬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