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학교밖청소년 지원 프로젝트-프롤로그

   
 
   
 

 지난해 학교 떠난 중·고등학생만 600여명…재입학·편입 100명선 그쳐
 다양한 이유 불구 '학업중단' '중도포기'잣대 적용으로 관심 밖 내몰려
 '복교'최선책 아닌 만큼 적극적인 사회 적응 프로그램 등 지원책 절실
 
 부적응이나 가정 해체 등의 문제로 '학교'떠나는 청소년들이 늘고 있다.
 학생을 버리고 '학교 밖 청소년'이 되는 아이들의 나이는 갈수록 어려지고 있다. 아직 세상을 다 알기 전 '학교'를 떠난 아이들이 다시 학교로 돌아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관심의 끈을 잠깐 놓친 사이 아이들은 '무직'에 '문제'청소년이란 낙인과 함께 제대로 사회에 나갈 기회마저 잃게 된다.
 학교밖 청소년들이 경제적이든 아니면 다른 기타 이유로 다시 학교로 돌아가기 쉽지 않은 상황임을 고려할 때 이들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장치 마련이 절실하다.
 
 
 
 △어려지는 '학교 밖 청소년'
 제주특별자치도가 파악하고 있는 학업중단학생은 고등학생을 기준으로 2005년 242명·2006년 220명이던 것이 2007년 372명에 이어 지난해 445명으로 3년 새 갑절 가까이 늘었다.
 2005년 47명이던 일반계고 학업중단 학생은 2006년 58명에서 2007년 78명·2008년 79명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실업계고 학업중단 학생은 고민을 넘어 사회적 우려가 제기될 정도다. 2005년 195명·2006년 183명이 학교를 떠난 데 이어 2007년에는 294명, 지난해는 366명이 제도권 교육을 포기했다.
 이들 중 지난해 학교로 돌아온(재입학) 학생은 55명이 전부다.
 유예나 면제 등의 이유로 학교를 떠난 중학생들도 2006년 이후 매년 100명이 넘고 있다. 2006년 99명이던 중학교 유예·면제자는 2007년 132명에서 지난해 177명으로 매년 늘고 있지만 다시 재입·편입하는 학생은 60명 선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민·유학이나 검정고시 등을 통해 일반계고 진학을 시도하는 사례도 적잖지만 대다수의 청소년들은 거리로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중에는 범죄에 노출, '무직'청소년으로 사법처리 대상이 되는 경우도 적잖은 실정이다.
 
 △ '학업'기준 접근 한계
 학업을 중단한 이유는 다양하지만 한번 교문을 벗어나고 나면 제도권 교육 밖으로 관심이 밀리는 것이 현실이다.
 '학업'을 기준으로 한 사회적 잣대는 이들 학교밖 청소년들이 사회에 나서 가장 처음 맛보는 좌절감이다.
 경제적 사정이나 가정 환경 등으로 학교에 계속 다닐 수 없는 상황 또는 한순간 실수로 사회적 처벌을 받은 등 사정은 다양하지만 이들 모두 '중도 탈락' '학업 중단'청소년으로 분류된다.
 사법기관의 기준은 더 차갑다. '학생'과 '무직'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은 오히려 이들의 올바른 사회 복귀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
 교육계 역시 학생이 아니라는 이유로 학교밖청소년에 대한 관심 자체에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 접근 방향은 오직 위기군 학생을 끌어안기 위한 데 집중돼 있다. 학교밖청소년 문제가 대두되면서 교육청 차원에서 쏟아내는 대안- '그린마일리지 시스템' '친한친구교실' '사랑의 끈 연결을 통한 케어멘토링'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등-모두 그 대상은 학생이다.
 
 △대안은 없나
 대안학교가 전무한 상황에 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참여할 수 있는 청소년의 수가 한정적이고 사회적 관심 또한 부족하다.
 올 초 충남도가 나서 대안교육센처를 설립, 학교를 떠난 청소년들을 끌어안기 위한 지역사회적 움직임을 본격화한데 반해 제주에서의 관심은 제한적이다.
 매년 두 차례 재입학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학교밖청소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야간학교나 검정고시학원 등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외에는 지난해부터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상담지원센터가 운영하는 두드림 과정이 유일무이할 정도다.
 박한샘 도청소년상담지원센터 소장은 "학교를 떠난 아이들에게 다시 학교로 돌아가는 일은 쉽지 않은 선택"이라며 "학교밖 청소년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고 사회에 제대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제주에는 '아직'이지만 자치단체별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대안 프로그램을 찾아가는 과정은 그런 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고 미 기자 popmee@jemin.com

※ 이 연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지역신문발전기금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