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홍·언론인
![]() | ||
그러나 쉽지 않습니다. '비판'을 가로막는 장애요소가 도처에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저해선 안 됩니다. 그건 지혜롭게 극복할 대상일 뿐입니다. 그렇다면 반성해야 합니다. '자신의 무능이나 나태함을 변명하는 구실'로 그것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지를….
'비판'은 그 자체 '언론의 목적'입니다. 그건 틀리지 않습니다. 그것을 언론의 한 기능으로 의미를 축소하는 건 잘못입니다. 그것은 아무 목적에나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단순한 수단' 같은 게 아닙니다. '비판'은 분명 신문의 한 기능이지만, 목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지 않습니다.
'비판'은 언론의 목적이지만, 비판 그 자체는 목적을 같지 않습니다. 오해는 금물입니다. 수단에 이미 목적이 들어 있다는 것은 이 경우 도저히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자칫 '불순한 의도'일 수 있습니다.
그건 용납되지 않습니다. '불순한 의도'는 '언론의 목적'을 악용한 사이비입니다. '비판'은 그 어떤 경우에도 정직해야 합니다. 비판의 참다운 의미는 자신에 대한 엄격함이나 순수함에서 비롯됩니다. 그만큼 진솔해야 합니다.
'부정적 강성단어'를 동원했다고 하여 비판이 되는 건 아닙니다. 그 소재가 지역적 시대적 상황에 적합해야 합니다. '아님'의 논리가 분명하게 서 있어야 합니다. 지역적 시대적 문제의식에 따라 그 소재가 어떤 것이냐고 물으면, 그 답은 그 물음에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의미를 부여하여 이야기 한다면, 그건 '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사안'입니다.
비판의 논리는 논리적 타당성과 실제적 적합성의 연관 속에서 등장합니다. 특정 사안이 실천되고 있는 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채, 그것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자기 자신의 현장'에다가 그것을 억지로 맞추어 넣으려는 것은 한마디로 '기자의 편견'입니다. 시각을 어떤 구조의 단편에만 고정시키는 것 역시 그 자체가 허위입니다. 개념을 잘못 사용할 때 생기는 '분석적 오류'는 차마 여기서 이야기 하지 못합니다.
'비판 즉 대안'입니다. 그러나 그것에 너무 얽매일 필요는 없습니다. 비판하는 것 자체가 대안성을 높이는 이성적 작업입니다. 언론은 문제제기로서 충분합니다. '어떤 문제가 왜 문제일 수밖에 없는가'를 깨닫는 것은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결정적 진보이기 때문입니다.
특정 기사를 들어 설명하는 것은 번거롭습니다. 그건 차후의 일입니다. 그러나 제민일보를 지면따라 읽다가 보면, '비판기사'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어떤 것은 표피에 머물 뿐이고, 어떤 것은 조금 더 깊이 접근했을 뿐, 아쉽게도 그 핵심을 관통하는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언론현장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저의 경험이 저의 이해를 정당화하는 근거로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어차피 본란도 관심있는 여러분들의 비판적 이야기를 들을 수밖에 없습니다. /강정홍·언론인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