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도천 은빛 은어가 사라지고 있다"

겨울바다를 보기 위해서 외도(外都)로 향했다. 바다는 그대로 버려져 있듯이 조용하다.사람들이 떠나버리고 나서야 제 모습으로 돌아와 있었다.
바다물결은 연중 이맘 때가 가장 투명하다.눈이 시리도록 바다를 본다.
누구든 이 바다를 보고 있노라면 잠시나마 세상 욕심과 허황된 환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조간대
 제주시 외도2동 조간대는 외도천 하류에 자리잡은 ‘개맛’에서부터 ‘연대포구(너븐여개)’·‘망알’을 거쳐 북제주군 애월읍과 경계를 이루는 ‘벼락맞은 내’에 이르기까지 광활하다.

이 일대 어로문화유적으로는 ‘멜케’·‘독수’·‘망알’·‘연대원’·‘큰신통’·‘족은신통’ 등 모두 6개의 원담이 있다.
이가운데 ‘연대원’은 마을사람들이 담을 쌓아 인공적으로 만든 것으로 한때 톳 양식장으로 운영되기도 했다.‘멜케’ 등 나머지는 물웅덩이 지형을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특이한 것은 어촌계는 하나지만 바다는 둘이라는 점이다.‘연대바당’과 ‘월대바당’으로 구분되며 그 경계는 ‘중뜨르’동산이다.

 이 일대의 ‘가린여’‘새창여’‘서새여’‘동새여’‘따비여’‘조강여’‘지방여’‘도랑튼여’‘연대코지여’‘톤여’등 여지형물은 지역주민들의 생업의 터전으로 자리잡아 왔다.소라·전복·미역·모자반 등의 수산물이 많이 났다.

 그러나 지금은 예전에 비해 생산량이 훨씬 떨어진다.
 99년 상반기에 제주도가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외도천 하류에 대해 수질조사를 한 결과 COD(화학적 산소요구량)이 1.8 mg/ ℓ로 해역환경 2등급에 해당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큰 원인은 생활하수와 해안가 쓰레기 불법소각에 따른 침출수의 유입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또 바다밭에 생업의 터전을 둔 주민들이 체감하는 오염도는 수질조사 수치이상으로 다가온다.

 주요 서식식물로는 메꽃과의 갯메꽃과 벼과의 갯잔디·모새달 등이 눈에 들어온다.

 이가운데 갯메꽃에 대해 이곳사람들은 ‘개꽃낭’이라고 부르고 있다.

 또 모새달은 해변습지에서 나는 다변초로 키가 70∼120㎝이며 갈대와 비슷하지만 약간 가는 게 특징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