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해상풍력 어디까지 왔나]

   
 
   
 

세계시장 변화 바람...정부도 실증단지 건설 박차
제주도 업무협약 체결 해상풍력산업 진출 교두보

세계의 풍력산업은 육상풍력에서 해상풍력으로 급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유럽이 해상풍력을 주도하고 있지만 최근 미국과 중국 등도 해상풍력 건설에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규모가 크지 않아 우리나라도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한 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때문에 '바람의 섬'으로 불리는 제주가 국내 해상풍력산업을 선도, 세계시장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해상풍력 세계가 주목

그동안 풍력산업은 육상풍력을 중심으로 추진됐다.

하지만 환경파괴와 소음, 진동 등으로 인한 비판과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인·허가 지연으로 인해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졌고,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에도 한계를 보였다.

때문에 전 세계가 해상풍력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이 가능한데다, 환경파괴 논란과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만큼 국가마다 막대한 예산을 투입,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지식경제부와 제주도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세계 해상풍력 설치용량은 유럽을 중심으로 2938㎿에 불과하다. 하지만 2568㎿가 건설중이고, 승인된 계획도 2만3593㎿다. 

게다가 세계 각국에서 준비하고 있는 규모는 총 15만3938㎿에 달한다.

이는 2009년 기준 전 세계 육상풍력 설치용량 15만9000㎿에 근접하는 규모다.

특히 최근에는 유럽 외에도 중국과 미국 등이 국가적으로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추진중이다.

해상풍력 설치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영국이 1341㎿로 가장 용량이 크고, 덴마크가 862㎿로 뒤를 이었다.

또 네덜란드 247㎿, 스웨덴 164㎿, 중국 116㎿, 독일 72㎿, 일본 25㎿ 순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해상풍력 건설에 뛰어드는 국가가 늘어나면서 세계시장을 주도하는 판도도 달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는 영국과 덴마크를 중심으로 2020년까지 4만㎿, 2030년까지 15만㎿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2010년 아시아 최초로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완공한 중국도 2030년까지 3만5000㎿ 규모로 용량을 확대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더욱이 미국은 2030년까지 5만4000㎿ 규모의 해상풍력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국은 육상풍력을 포함, 30만㎿ 규모의 풍력단지를 건설한 뒤 국가가 필요로 하는 전체 전력량의 20%를 풍력발전으로 충당한다는 구상이다.

# 국내시장도 변화 바람

국내에서도 해상풍력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조선·중공업 업계는 이미 해외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경쟁체제에 돌입, 5㎿급 이상의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개발을 추진중이다.

그러나 개발한 풍력발전기를 수출하기 위해선 일정기간 풍력발전기를 설치, 가동한 운영 경험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는 지난해 11월 국내에 해상풍력발전기 실증단지를 조성하는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은 오는 2019년까지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9조2590억원을 투입, 서남해안에 2500㎿ 규모의 대형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1단계로 2013년까지 부안·영광지역 해상에 6036억원을 투입, 100㎿ 규모의 국산 해상풍력발전기 실증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또 2단계로 2016년까지 3조254억원을 들여 900㎿ 규모의 해상풍력 시범단지를 추가 건설하게 되며, 3단계로 2019년까지 5조6300억원이 투입돼 1500㎿ 규모의 해상풍력단지가 조성된다.

다만 정부는 해상풍력발전기 실증단지 건설에 소요되는 9조2590억원 중 해상구조물 기술개발비 등으로 290억원만 지원하게 되며, 나머지 예산은 민간에서 투자하게 된다.

이와 함께 지식경제부는 지난달 서남해안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전담할 '해상풍력 추진단'도 구성,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번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에서 제주도는 사실상 배제됐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세부 타당성 조사 후 소규모 단지로 개발 추진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는 했지만 우선개발 가능지역에서 제외, 정부 지원을 받기는 힘들 전망이다.

# 제주도 해상풍력 합류

제주도는 지식경제부의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에서 사실상 배제됐지만 지난달 14일 한국전력기술㈜와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자력으로 해상풍력 시장 진출에 합류했다.

특히 제주도는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하게 될 법인의 지분을 최소 17.5% 이상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사업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전력기술㈜은 국내 공기업, 풍력발전기 제조사, 대기업 등과 공동으로 4500억원 이상을 투자, 제주 해상에 3㎿급 풍력발전기 34기(총 발전용량 102㎿)를 갖춘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되면 도내 총 전력소비량의 9%를 대체할 수 있고, 연간 전력 판매수익도 649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도가 차지하는 법인 지분을 17.5%라고 가정하면 114억원의 수익을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제주의 풍력산업은 육상풍력에서 해상풍력으로 급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도내에서 가동되는 육상풍력은 행원풍력발전, 한경풍력발전, 월정풍력발전, 신창풍력그린빌리지, 성산풍력, 삼달리풍력발전, STX 풍력발전, 김녕리풍력발전 등으로 82.5㎿(47기) 규모다.

하지만 제주에서 해상풍력사업이 본격 추진되면 육상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제주도가 지식경제부의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에서 배제된 가운데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뛰어든 만큼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 국내 해상풍력시장을 선점하는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는 분석이다.

국내에서 해상풍력산업이 시작단계인 점을 감안하면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주가 국내 해상풍력산업을 선도하게 된다면 세계시장 진출도 가능,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한층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강시철 제주도 미래전략산업과장은 "육상풍력의 경우 경관 훼손이나 지가하락 등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발생했지만 해상풍력은 부지 확보가 용이하고 가동률도 높다"면서 "해상풍력발전기 공간에 가두리 양식시설을 설치한다면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필 기자 kkp2032@jemin.com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