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선이 무너진다 - 프롤로그

   
 
  ▲ 제주본섬의 자연해안선 254.83㎞ 가운데 151㎞ 구간에 해안환경 등을 배려하지 않은채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순기능 보다는 역기능이 훨씬 크게 작용하고 있다. 사진은 제주항공촬영전문가 김태진씨가 드론(무인항공기)으로 안덕면 대평리 해안을 촬영했다.  
 
검은용암석·절벽 등 천혜의 절경 간직해
무분별한 개발 행위 모래유실 등 심해져
후손에 물려줄 자산 보존 대책 마련 시급

△해안도로 개설로 몸살
 
제주해안선의 전체 길이는 545.2㎞다. 이 가운데 제주본섬은 419.99㎞, 추자도·우도 등 유인도과 무인도를 포함한 77개의 도서지역은 126.63㎞다. 제주본섬의 전체 해안선 가운데 방파제 등 인공구조물로 이뤄진 165.16㎞를 제외한 자연해안선은 254.83㎞로 전체의 60.67%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도내 해안도로는 1989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설되면서 제주해안선을 훼손시킨 주된 요인이 됐다.
 
제주전체 자연해안선의 59.4%인 151㎞에 개설된 해안도로는 주민과 관광객이 연안지역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 등 순기능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해안도로 조성사업은 해안환경과 경관을 배려하지 않은채 개설에만 치중돼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훨씬 큰 것이 현실이다.
 
일부 해안도로는 조간대를 가로질러 개설되거나 모래유실 또는 유입현상 등이 심해지고 있다. 더구나 해안도로를 따라 건축물과 양식장 등이 난립하면서 원형이 훼손되고 있고, 바다에 지나치게 가깝게 개설되면서 월파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인공구조물로 모래유실
 
제주해안선에 방파제와 석축·옹벽 등의 인공구조물들이 들어서면서 조류흐름변화로 모래유실도 가속화되고 있다.
 
제주시 내도동 알작지 해안은 1999년부터 방파제와 석축의 축조공사가 이뤄지면서 둘로 나눠져 버렸고, 조약돌도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 
 
검은모래로 유명한 삼양동 삼양해변은 제주항 동방파제의 건설로 조류흐름이 바뀌면서 모래유실이 심해지고 있다.
 
천연기념물인 우도 홍조단괴 해변도 1㎞의 호안과 인도, 포장도로 등 인공구조물이 설치되면서 급속도로 유실되며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대정읍 하모해수욕장과 안덕면 사계리 황우치 해변 역시 인근에 방파제가 축조된 후 모래유실이 심각하다.
 
△공유수면 매립 해안선 사라져
 
제주지역은 1977년 화력발전소 부지확보를 위해 도내에서 처음으로 화순 공유수면에 1만6200㎡ 규모로 매립지가 형성된 이후 최근까지 마라도 면적(30만㎡)의 4배에 육박하는 113만7300㎡의 해안이 육지로 변했다.
 
먹돌로 유명했던 제주시 탑동의 경우 해안선 및 조간대에 16만4000㎡ 매립공사가 이뤄졌고, 이후 도두, 세화, 삼양, 이호, 강정 등에서 매립사업으로 자연해안이 사라졌다.
 
특히 공유수면 매립사업은 무분별한 공사강행으로 자연해안선 훼손, 해양생태계 파괴, 월파 및 해일피해 등의 부작용을 초래했다. 
 
제주해안선은 반드시 보존해야 하는 자연자산이다.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부터라도 난개발과 훼손을 막고 보호할 수 있도록 관심과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김용현 기자

 

"해안선에 대한 기초조사와 이에 따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지역별 개방방향에 따른 지침이 필요하고 행정과 학계는 물론 도민, 시민단체, 농·어업인, 기업 등이 포함된 거버넌스를 통해 현장의 간극을 메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덕희 도시계획·환경계획 전문가는 "제주도의 경우 외형적으로 많은 개발이 이뤄졌지만 이는 좋은 방향이 개발이 아닌 부정적인 개발, 즉 난개발로 제주가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해안선은 절대 건드려서는 안됨에도 불구 난개발로 해안 침식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 전문가는 "전 세계적으로 바다모래가 쌓이는 주기가 있고 밀려나가는 주기가 있는데 개발로 인해 조형물이 들어서면 자연적인 사이클에 변화를 줘 침식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며 "해안의 파고 및 움직임, 해안선 모래 유실 변화 등 해안침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연구해야 되는데 그러한 부분이 미흡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전문가는 "개발 인허가도 규정과 절차에 맞게 진행되는 과정이 필요한데 소위 말해 현재는 과도기라고 생각된다"며 "행정에서 체계적인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장기계획을 세워 개발로 인한 누적 영향에 대해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동일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