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의 낙천·낙선운동이 전국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내 12개 시민단체들이 총선 제주도민연대를 발족함으로써 제주지역 총선에도 영향을 아니 미칠 수 없게 됐다. 특히 이번에 출범한 총선 제주도민연대는 지역의 대표적인 시민단체들이 거의 참여해 단일 연대기구로 구성한 것이라든지, 그것도 중앙의 하부조직이 아니라 독자적인 연합체로 운영한다는 점들이 관심을 끌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지역의 특성상 어느 한 시민단체만으로 정치개혁운동을 벌이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으며 도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그것은 역대 선거를 통해서 충분히 입증된 바 있다. 또한 중앙에서 전개하고 있는 낙천·낙선운동을 그대로 지역에 대입하기에는 다른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지역의 입장에서는 도민이익과 중앙정책의 괴리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총선 시민연대 구성은 지역의 공명선거 정착에 일대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선 도민연대 역시 이같은 문제점을 들어 올해를 정치개혁 원년으로 삼아 유권자의 알 권리와 참여를 위해 후보자에 대한 정보공개와 부정선거고발운동을 펼침으로써 제대로 된 선거문화 정착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모처럼 도내 시민단체가 연대한 단일조직을 발족시켜놓고도 이런저런 사정으로 위축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민연대가 밝혔듯이 후보자에 대한 정책과 공약이행 그리고 의정활동과 도덕성 등을 철저히 검증하여 퇴출해야할 정치인이 있다면 낙선운동도 과감히 벌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려면 지역특성을 외면할 수 없지만 선거때만 되면 나타나는 철새 정치인도 그 한 예가 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선거는 언제나 흘러가기 마련이다. 문제가 있는 후보자에 대해서는 투표를 통해 심판할 수 있지만 사전 차단장치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래야만 공명선거도 뿌리를 내릴 수 있다. 그럼으로써 유권자의 권리를 되찾는 것은 물론이며 지방에서도 정치개혁을 기대할 수 있다. <<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