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지역의 특성상 어느 한 시민단체만으로 정치개혁운동을 벌이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으며 도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그것은 역대 선거를 통해서 충분히 입증된 바 있다. 또한 중앙에서 전개하고 있는 낙천·낙선운동을 그대로 지역에 대입하기에는 다른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지역의 입장에서는 도민이익과 중앙정책의 괴리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총선 시민연대 구성은 지역의 공명선거 정착에 일대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선 도민연대 역시 이같은 문제점을 들어 올해를 정치개혁 원년으로 삼아 유권자의 알 권리와 참여를 위해 후보자에 대한 정보공개와 부정선거고발운동을 펼침으로써 제대로 된 선거문화 정착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모처럼 도내 시민단체가 연대한 단일조직을 발족시켜놓고도 이런저런 사정으로 위축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민연대가 밝혔듯이 후보자에 대한 정책과 공약이행 그리고 의정활동과 도덕성 등을 철저히 검증하여 퇴출해야할 정치인이 있다면 낙선운동도 과감히 벌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려면 지역특성을 외면할 수 없지만 선거때만 되면 나타나는 철새 정치인도 그 한 예가 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선거는 언제나 흘러가기 마련이다. 문제가 있는 후보자에 대해서는 투표를 통해 심판할 수 있지만 사전 차단장치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래야만 공명선거도 뿌리를 내릴 수 있다. 그럼으로써 유권자의 권리를 되찾는 것은 물론이며 지방에서도 정치개혁을 기대할 수 있다. <<끝>>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