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복지타운 대규모 아파트 '득보다 실'<3>
3~5층 제한→10층 완화 '친환경 저밀도' 원칙 무시
1200세대 입주…교통체증·주차난 심화 부작용 우려
제주시 시민복지타운 공공청사부지에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서면 '친환경 저밀도'라는 시민복지타운 개발원칙을 훼손한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경관훼손, 연삼로·연북로 교통체증 유발과 주차난 심화 등 각종 부작용으로 도민들이 피해를 떠안게 될 전망이다.
시민복지타운은 다른 도시개발사업과 달리 개발원칙을 '친환경 저밀도'로 잡았다.
시민복지타운은 쾌적한 주거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녹지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 단독·다가구주택은 3층 이하, 준주거지 근린생활시설 등은 5층 이하로 제한했다. 복지타운에 들어선 정부합동청사 역시 5층으로 지어졌다.
이같은 개발기조는 제주도가 추진하는 공공임대주택 사업으로 무너질 처지에 놓였다. 5층 이하 건축물만 들어선 복지타운에 도가 추진하는 10층 규모의 아파트 단지가 들어섬으로써 조망권을 포함한 도심경관 훼손마저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시민복지타운에 1200세대에 이르는 아파트가 들어섬으로써 연삼로와 도남로, 오남로 등 복지타운 일대 교통대란도 우려되고 있다.
복지타운과 바로 인접한 연삼로 제주보건소사거리와 도남사거리는 출·퇴근 시간 때마다 상습 정체구간이 된지 오래다.
애조로와 연북로 방면에서 구제주권으로 진입하면서 오남로를 이용해 제주보건소 사거리를 이용하는 차량이 몰리며 이곳은 수백미터씩 정체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 일대에 1200세대가 입주하게 되면 아파트 1세대당 차량 1대만 소유하더라도 1200대가 증가, 이 일대 교통혼잡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다.
김태일 제주대 교수는 "공공주택 건설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아 특별한 언급은 어렵다"면서도 "1200세대를 어떤 성격과 규모로 짓느냐에 따라 교통 흐름이나 도시 경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성 있는 임대주택을 짓는 일이 지방자체단체가 해야 할 중요한 업무이기는 하지만, 논의가 선행되지 않고 부지가 먼저 선정되는 등 절차적으로 미흡했다"며 "공론화 절차를 통한 수요자 파악과 부지 적절성 여부 등에 대한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석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