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추석과 함께 우리나라 3대 명절 가운데서 가장 큰 명절인 설은 새해 첫날이라 점에서도 그 의미가 남다르다. 그런지 설에는 멀리 떨어졌던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자신들의 뿌리를 확인하며 덕담을 나누고 한 해를 경건하게 맞는다. 그러나 이번 설을 맞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한결같은 것은 아니다. 정부에서야 국가경제위기를 넘겼다고 요란을 떨지만 서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실물경제는 완전히 나아졌다고 할 수 없다.
우리 주위에는 아직도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된 영세민이나 생활보호대상자 그리고 결식아동·실직가정이 많다. 또한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는 근로자들의 고통도 여전히 치유되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다. 상여금은 커녕 밀린 임금이라도 받아 가족과 함께 따뜻한 떡국 한 그릇이라도 나눴으면 하는 게 이들의 간절한 소망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 사회도 이미 20대 80의 사회로 진입했다고 한다. 모든 사회·경제적 눈높이를 20%의 가진 층에 맞춰 본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경제의 착각도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이같은 사회괴리현상은 명절의 기쁨조차 공유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이번 설 만큼은 주위의 어려운 이웃들을 찾아 화목과 화합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자. 설 때만 되면 즐거움보다 괴로움이 많아지는 여성들에게도 관심을 가지고 그 고통을 나눠갖는 일도 보람된 일일 것이다. 정치권에서도 ‘설 표심’잡기에만 혈안될 것이 아니라 이 사회가 안고있는 구조적인 현상에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국민들도 정치에 박수를 보낼 것이다. 모처럼 맞는 새 천년 첫 명절에는 묵은 때를 씻고 희망으로 가득한 풍성한 날이 됐으면 좋겠다. <<끝>>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