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화재단 지난 9월부터 민간소장 기록물 수집
육필원고 및 사진·엽서 등 400여점 기증 이어져

주4·3평화재단은 지난 4일 제주4·3평화기념관 대회의실에서 사단법인 제주민예총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민예총이 보유한 기록물을 기증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주4·3평화재단은 지난 4일 제주4·3평화기념관 대회의실에서 사단법인 제주민예총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민예총이 보유한 기록물을 기증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제주4·3의 흔적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유물이 한 곳에 모였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지난 9월부터 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을 위해 제주4·3 민간소장 기록물 수집 사업을 진행했다.

기록물 수집 사업을 통해 1919년 조천3·1만세 운동을 주도했으나 4·3의 광풍에 목숨을 잃고 2018년 국가유공자로 선정된 한백흥 선생의 초대 함덕리장 임명장과 최근 재심 개시가 결정된 생존 수형인 김두황 선생이 직접 작성한 4·3 당시 상황과 이후 마을 재건을 위한 노력 등이 소상하게 적힌 회고록을 확보했다.

또 제민일보 4·3취재반장을 지냈던 양조훈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은 제민일보가 발간한「4·3은 말한다」 육필원고 등을 재단에 기증했다.

이와 함께 4·3 희생자와 유가족 등의 4·3 기록물을 기증도 이어졌다.

희생자 전군부씨의 아들 전명종씨는 4·3 당시 아버지가 김천형무소에서 보낸 엽서 등을 기탁했고, 장일홍씨는 돌아가신 아버지가 기록한 4·3 전후 사진 등을, 화가 고길천씨는 제주4·3평화공원에 설치된 조형물 '귀천' '비설' 설치 기록 사진 등을 기증했다.

4·3평화재단이 민간소장 4·3 기록물 수집 캠페인을 통해 수집한 기록물 및 유물은 400여점으로 집계됐다.

한편 제주4·3평화재단은 지난 4일 제주4·3평화기념관 대회의실에서 사단법인 제주민예총(이사장 이종형)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민예총이 보유한 기록물을 기증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윤주형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