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위협받는 제주의 물, 보존 위한 실천] 1. 프롤로그

기후변화 개발사업 등 심화
땅속으로 스미는 빗물 감소

지하수 의존형 물 공급 방식
요금체계 무분별 사용초래

 

화산섬인 제주는 강이나 물이 흐르는 유수천이 많지 않아 물이 귀한 섬이다. 지하수 관정개발은 제주의 '물 가난'을 구제한 핵심 요인이었지만 땅만 파면 나오는 무한 자원이라는 잘못된 인식 등으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이 이뤄졌고, 제주 생명수를 지켜야 하는 절실한 상황에 놓였다. 과거 제주 사람의 물허벅을 이용해 물을 나르는 모습. 자료사진.
화산섬인 제주는 강이나 물이 흐르는 유수천이 많지 않아 물이 귀한 섬이다. 지하수 관정개발은 제주의 '물 가난'을 구제한 핵심 요인이었지만 땅만 파면 나오는 무한 자원이라는 잘못된 인식 등으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이 이뤄졌고, 제주 생명수를 지켜야 하는 절실한 상황에 놓였다. 과거 제주 사람의 물허벅을 이용해 물을 나르는 모습. 자료사진.

제주도민의 '생명수'인 지하수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지하수는 생활용수는 물론 농업용 등 제주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집중호우와 개발 등 각종 사업으로 빗물이 땅속으로 스미는 면적이 줄어드는 등 지하수 함양량이 점차 줄고 있다. 이에 반해 지하수 사용량은 지속 이용가능량 한계점에 도달했다. 제주 지하수의 실태를 점검해본다.

△한 방울이 귀했던 물
화산섬인 제주는 강이나 물이 흐르는 유수천이 많지 않아 물이 귀한 섬이다.

1953년 제주시 건입동 용천수를 이용한 수자원 개발을 시작으로 제주도의 상수도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됐지만, 제주도민에게 충분히 공급하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

이후 1961년 애월읍 수산리 마을에서 지하수 관정을 개발하면서 중산간 지역에 물이 공급되기 시작했다.

지하수 관정 굴착공사는 이어 1967년까지 북제주군 23개 관정 3945t, 남제주군 43개 관정 6205t을 개발하는 사업이 추진됐다.

하지만 당시 기초자료 부족과 열악한 장비로 성공률은 35%에 불과해 충분한 용수 공급이 쉽지 않았다.

지하수 관계 기관의 지질구조에 따른 지하수 형태 조사 등이 이뤄졌고, 지하수 관정 개발과 함께 용천수를 활용한 수원개발에도 속도를 내면서 제주에서도 상수도 시대를 열었다.

지하수 관정개발은 제주의 '물 가난'을 구제한 핵심 요인이었지만 땅만 파면 나오는 무한 자원이라는 잘못된 인식 등으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이 이뤄졌고, 제주 생명수를 지켜야 하는 절실한 상황에 놓였다.

△물 쓰듯 하다 초래한 위기
제주에서 지하수 관정이 개발된 이후 먹는 물과 농업용수 공급이 원활해졌지만, 무분별한 물 사용에 따른 지하수 개발로 '유한 자원'인 제주의 생명수가 위기에 처했다.

기후 변화 등으로 집중호우 현상이 잦아지는 데다가 개발 사업과 비닐하우스 시설 확대 등으로 빗물이 땅으로 스미지 못하는 '불투수' 면적이 늘고 있다.

이로 인해 지하수 함양량은 과거 46% 가량에서 현재는 40% 가량으로 줄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 강수량은 3952㎜로, 이 가운데 1379㎜(34.9%)는 공중으로 증발했고, 970㎜(24.5%)는 하천 등을 통해 바다로 직접 유출됐으며, 나머지 1603㎜(40.6%) 가량만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로 함양됐다.

지난해 말 현재 제주지역 지하수(담지하수) 관정은 생활용 1385공, 공업용 130공, 농업용 3064공, 먹는샘물 7공 등 모두 4586공이다.

제주지역 지속 이용가능량은 월평균 5435만4000t으로, 지하수 취수 허가량은 지난해 말 현재 월평균 생활용 2162만8000t, 농어업용 2666만7000t, 공업용 65만7000t, 먹는샘물 14만1000t 등 모두 4909만3000t이다.

제주지역 지하수 취수 허가량은 지속 이용가능량의 90.3%를 차지하는 수준으로 사실상 한계점에 도달한 상황이다.

대정(230%), 한경9256%), 한림(170%), 애월(396%), 조천(122%) 등 일부 지역은 이미 지하수 취수허가량이 지속 이용가능량을 넘어섰다.

이처럼 제주 지하수가 고갈 위협을 받는 만큼 제주 지하수를 소중한 도민 모두의 공공자산으로 인식해 아껴 쓰고, 관리하는 성숙한 도민 의식이 요구되고 있다. 윤주형 기자
<이 기사는 제주특별자치도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