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제주국제안전도시] 4. 자살예방포럼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28.1명 전국 두번째 높아
10대 청소년 전국 1위
유관기관·학교 역할 중요
제주지역 자살률이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이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장기화로 고위험군이 늘어날 우려까지 낳으면서 보다 촘촘한 사회안전망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자살 고위험군 조기 발굴과 위험요인 관리를 위해 유관기관 네트워크 강화와 공동체 회복에 이어 정신건강 교육 등 학교 역할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제주도와 제주대학교병원이 주최하고 제주도교육청과 제주소방안전본부, 제주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제주도자살예방센터가 주관한 '2021년 정신건강박람회 및 자살예방포럼'이 5일 제주학생문화원 소극장에서 개최됐다.
'자살위험 없는 평화의 섬, 제주'를 주제로 한 포럼에서는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정책과 사업, 고위험군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교육기관 역할 등이 다뤄졌다.
주제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제주가 28.1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았다.
전년도(27.3명)와 비교해서도 더 높아졌다.
동기별로는 '경제 문제'(40%)가 가장 많았다. 이어 '정신적 문제'(22.2%), '육체적 질병 문제'(16.1%) 등이었다.
특히 제주는 10대 청소년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가 11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기조강연에 나선 윤보현 국립나주병원장(전남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자살고위험군 발굴부터 지원 ,사후관리까지 자살예방을 위한 서비스 지원체계가 개선돼야 한다"며 "코로나19 상황 속 실직자 집중 관리와 경제문제로 인한 자살 위험군(30~60대)과 경제 취약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조성진 제주도교육청 학생건강증진추진단장은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교육 강화와 함께 응급실·경찰·119·자살예방센터 등과 학교와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특히 위기학생 지원과 정신건강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을 학교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권·박시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