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일보ㆍ제주특별자치도 공동기획
악취없는 제주, 양돈산업 살길이다
2. 제주도 가축분뇨처리 및 악취해소 정책
가축분뇨 고밀도 정화처리 재이용수 농·산업용 수자원 활용
무창돈사 악취저감시설 등 과감한 투자 양돈장 냄새 차단
공공처리시설 확대 가축단지 주변 친환경 마을 조성도 추진
제주특별자치도는 고질적인 축산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각종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도내 양돈농가 상당수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악취저감을 통한 도민사회 공감대가 필수라는 사실도 인식하고, 자구책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 축산·환경당국과 농가들이 축산악취 해소 및 분뇨처리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소개한다.
△가축분뇨 처리 개념 대전환 추진
현재 제주의 양돈산업은 대규모 단지형태로 사육장이 밀집돼 조성됐다. 이 때문에 양돈단지 중심으로 악취발생 문제가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해 도민사회로부터 양돈 등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제주도와 양돈농가는 가축분뇨의 자연순환 목적으로 양돈분뇨를 숙성처리해 액비로 살포하고 있지만 되레 냄새유발과 지하수오염 등의 부작용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도는 개별농가 및 공동자원화시설, 재활용업체 등의 가축분뇨 액비화 시설이 운영되는 양돈사업장에 대해 정화처리시설을 지원해 농업용수를 포함한 재이용수 활용까지 가축분뇨 처리방법 대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도는 올해 가축분뇨 정화처리시설 및 부대시설 설치 등을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을 본격화하고 있다. 농가와 처리업체 등에 정기승압장치, 액비 및 재이용수 저장조, 슬로지 처리용 콤포스트 및 감량기, 고액분리기 설치를 지원한다.
이 사업이 완료될 경우 가축분뇨를 기존 액비보다 고도의 정화처리해 농·산업용수 수준으로 처리한 후 대체수자원으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2019년부터 양돈분뇨 정화처리 재이용 사업을 통해 올 8월 현재까지 양돈분뇨 1321t을 정화 처리했다. 이는 1일 양돈분뇨 발생량인 2670t의 49%(허가기준) 수준이다.
도는 2023년 정화 처리율을 2023년까지 7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올해 양돈농가 등 자원화 시설 5곳에 30억원을 투입, 1일 총 90t의 양돈분뇨를 정화 처리한다. 양돈분뇨 정화처리수는 자원화공장 내 세척용수, 악취방지용 안개분무용수, 기계설비의 냉각수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퇴비의 경우 부숙도 검사 의무화를 통해 완전숙성을 통한 고품질 천연비료로 가공처리한 후 농가에 보급, 가축분뇨 처리 및 청정농업육성 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는 퇴비유통전문기관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양돈장 밀집지역 및 냄새민원 다발지역 중심으로 휴일·야간 등 악취대응 취약시간에 방제를 강화한다. 이에 냄새민원 즉시 현장방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24시간 방제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24시간 냄새민원 축산사업장 방제단 참여를 원하는 업체 또는 기관을 대상으로 사업계획서 등을 검토한 후 인력 및 행·재정적인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화 시설통한 악취저감 추진
고질적인 축산악취 해결을 위해서는 현재 노후화된 양돈사육장을 악취저감형으로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돈사, 분뇨처리장, 퇴비사 등 별로로 악취저감시설을 개선하는 것보다 양돈장 전체를 친환경 축산단지로 탈바꿈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우선 양돈장내 악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육장을 밀폐형 구조물로 바꾸고 기계식 환기장치 등을 설치하는 무창돈사로 개선해야 한다.
또한 차광막과 안개분무 등을 통한 바이오커튼을 설치하고, 세정습식탑과 흡착탑, 바이오릴처, 대개편승·확산 악취제어장치 등의 설비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무창돈사와 악취저감시설 설치가 함께 이뤄져야 양돈장내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은 농가 입장에서 비용부담이 크기 때문에 악취저감형 양돈장 구축사업 참여를 기피할 수 있다. 무창돈사를 건축하려면 수억원이 들고, 축사관리도 힘들기 때문에 수익성과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양돈업계는 밝히고 있다.
하지만 양돈농가가 그동안 경제적인 이득이 크고, 사회적 피해를 입힌 것을 감안하면 악취저감시설 투자에 과감히 나서야 한다.
도 등 행정당국은 시설투자 농가에 대해 직·간접적인 지원대책도 마련해 농가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중요하다.
농가와 개별업체를 통한 가축분뇨 처리도 중요하지만 공공처시리설 확대를 통한 통합관리도 필요하다.
현재 가축분뇨처리시설은 제주시와 서귀포시 각각 1곳씩 2곳이 운영중이며, 도는 추기존 시설에 대한 처리규모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가축분뇨의 단순 정화처리 개념에서 확대해 숙성과정 등을 통해 발생하는 메탄가스 등의 부속자원을 에너지화 사업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가축분뇨의 자원순환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기술지원을 받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운영도 위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한 양돈단지가 밀집한 한림읍 금악리에 친환경에너지 타운 조성사업도 추진된다.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발전폐열(온수)을 활용해 탄소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친환경 마을을 조성, 마을수익창출과 주민복지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또한 태양광발전시설과 곤충사육시설 등 마을 부대사업도 함께 추진해 양돈단지 주변 마을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