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바당 해녀 이어도 사나-신(新)물질로드 6.부산 영도 해녀

부산 제2도시 성장 배경 속 '제주 해녀 정착' 자리
일제강점기.한국전쟁 후 재건=강인한 생활력 연결
'나 아닌 우리' 공동체 중심 연대로 차별 등 버텨내

해녀의 바깥 물질은 기본적으로 가족 생계 유지라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부연한다면 자본주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을 통한 자본 유입이 일상 생활에 변화를 줬고, 탄압과 착취 등 일제 수탈에 대한 반발심도 강했다. 혼자서는 안 될 일이지만 무리를 지어 남해와 동해, 일본 연안까지 물질을 하러 나선다.
해녀의 바깥 물질은 기본적으로 가족 생계 유지라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부연한다면 자본주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을 통한 자본 유입이 일상 생활에 변화를 줬고, 탄압과 착취 등 일제 수탈에 대한 반발심도 강했다. 혼자서는 안 될 일이지만 무리를 지어 남해와 동해, 일본 연안까지 물질을 하러 나선다.

"가덕도 끝을 넘어가면 등바당을 넘어간다. 다대 끝을 넘어가면 부산 영도이로구나"
부산박물관 특별기획전전 '부산, 관문 그리고 사람'에서 제주해녀는 부산 성장의 한 부분으로 소개된다.'1876년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 재건과 산업화 시대를 거치면서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성장한 바탕에 힘겹고 고단한 시간 속에서도 삶의 희망을 잃지 않고 부산에서 새 삶터를 개척하고자 전국에서 모여든 사람들이 있다'며 제주에서 뭍으로 와 정착한 부산 해녀들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부산 '3대 아지매'라 불리는 자갈치 아지매와 재첩국 아지매, 그리고 깡깡이 아지매를 들었다. 

△경제활동 가능한 '여성'
특별기획전에서 '부산 해녀'가 시작점에 있는 이유는 여성의 경제 활동에서 찾을 수 있다. 

제주 해녀가 억척스럽고 강인한 여성의 대명사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연결된다.

1900년 이전까지만 해도 제주 경제는 자급자족적 성격이 강했다. 이런 분위기를 뒤집은 것이 해녀였다. 일본무역상의 등장으로 해산물 수요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해녀들의 생산물인 해산물의 경제적 가치가 상승했다. 이 같은 현금 수입원은 제주 경제에 자금의 흐름을 만들었고 해안지대를 중심으로 마을을 키웠다. 식민지 지배 체제 아래 국.공유지가 많았던 제주의 사정은 도민들을 빈궁과 가난으로 밀어 넣었고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 열악한 조건에도 바다를 건너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해녀의 바깥 물질은 기본적으로 가족 생계 유지라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좀 더 부연한다면 자본주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을 통한 자본 유입이 일상 생활에 변화를 줬고, 탄압과 착취 등 일제 수탈에 대한 반발심도 강했다. 혼자서는 안 될 일이지만 무리를 지어 남해와 동해, 일본 연안까지 물질을 하러 나선다. 

제주해녀의 바깥 물질은 19세기 후반부터 간헐적으로 이뤄졌던 제주해녀의 바깥물질은 1910년 이후 본격화한다. 1890년대부터 일본의 잠수기 어선이 제주 어장을 황폐화시켰던 탓에 바다를 건넌다는 선택이 어렵지 않았다. 우뭇가사리와 미역 수확을 위한 해녀를 모집하는 중개인도 있었다. 기록은 찾지 못했지만 당시 부산 영도에 이들 중개인이 거점으로 삼아 활동했던 숙소 성격의 건물이 있었다는 말도 남아있다.

부산박물관 특별기획전.
부산박물관 특별기획전.

△원정 왔다가 정착
특별기획전은 일제 강점기 이후 제주 출향(출가) 해녀들이 부산 영도에 모였다가 기장, 울산, 경주, 포항 등 부산 인근의 어촌으로 퍼져나갔다는 점을 강조했다. 해방 이후 많은 제주도민이 영도로 대거 이주했고 1950~1970년대 중반까지 부산 영도를 거점으로 제주 해녀의 바깥 물질이 이어졌다고 살폈다.

배경을 보자. 부산 영도를 거점으로 활동하던 상인들은 미역 등 해조류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제주 해녀를 모집했던 영향으로 광복 후 제주도민이 영도로 대거 이주했다. 1970년 동아일보의 '땀 흘리는 한국인'기획에도 흥미로운 내용이 나온다. '제주집'이라는 소제목과 더불어 '물질 원정 왔다가 동해안에 정착' '부산 영도는 주민 8할이 제주계'라는 제목을 붙였다. 미역 채취권 등을 둘러싼 민민 갈등 속에 제주 해녀가 등장한다. 주인이 모호한 바다에서 사는 소위 '제주집'이라 불리는 제주해녀들을 언급한다.

"(제주집)은 물질하러 육지에 나왔다가 현지 남자들과 결혼 내지 이주해온 사람들인데 동해안 일대 주민의 약 3할 가량이, 부산 영도의 경우는 약 8할을 차지하여 선거 때의 몰표로도 나타나고 있다. 내륙지방에서 보기에는 제주도가 천리길 바다 밖이지만 동해안 일대에서는 제주도가 바로 옆마을이다. 이것은 제주본도인들도 마찬가지다. 구룡포의 경진하숙이 어떻고 소섬(우도)의 이발소가 어떻고는 동해안~제주도간의 공통 생활정보가 된다.

감포(월성군) 어협 관내만 해도 작년의 200여명에 이어 금년엔 100여명으로 제주도 출가 해녀수가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줄고는 있지만 5년 전까지만 해도 여름이면 제주도 해촌의 여라자고는 집보는 노인이나 아이들뿐이어서 제주 해촌의 여자가 동해안으로 출가(出稼)했다가 출가(出嫁)해버리는 예는 수두룩했고, 아주 이주해서 '제주집'이 되곤 했다. 제주집은 물론 이런 미역바위 권리엔 참가할 수 없었고 그 아이들까지도 학교에서 흔히 원주민들에게서 따돌림을 받기 일쑤였다."

△'바다가 보이면 모여'
해녀노래는 부산 영도까지 가는 뱃길의 고단함을 담고 있다. 말이 14일이지 중간에 풍랑을 만나면 섬에서 섬으로 간신히 몸만 피했다. 영도에서 다시 가덕도 등 주변 섬으로 옮겨간 사정을 들여다보면 이주민에 대한 홀대와 차별을 읽을 수 있다.

더 눈여겨 봐야 할 것은 공동체다. 같은 기사는 또 '바다가 있는 곳이면 어디나 후조(候鳥.철따라 자기 환경에 맞는 곳으로 살 곳을 옮기며 살아가는 새)처럼 몰려다니는 출가해녀들은 곧잘 동해안 연안에 제주촌을 이룬다'는 사진 설명이 달려있다. 마을까지는 아니지만 해녀가 있는 곳에서 그들이 모여 살았던 이야기를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해녀 경력만 60년이 넘는 김영호 할머니(82)의 기억 속에는 100명이 넘는 제주 해녀가 같이 물질을 했던 일이 어제 같다. 구좌읍 세화 출신인 김 할머니는 다른 해녀들과 떨어져 작업을 했다. 먼바다까지 나가기에는 힘에 부치지만 '오늘 작업하는 조(組)'에서 빠질 수는 없었다고 했다. 먼저 뭍에 나와 성게 작업을 하면서 나중 나오는 해녀들의 망사리를 살핀다. 이제 10명밖에 남아있지 않지만 이전 남항 어촌계에서는 올해 69살인 구좌 종달 출신 막내 해녀가 있고, 여기서 제일 작업을 잘 하는 해녀는 서귀포 출신이라는 얘기가 줄줄이다.

서로 도우며 이 정도까지 하지만, 앞으로 잘해봐야 1~2년 더 물에 들거란 얘기 끝에 이제 여기는 더 해녀가 없을 것이란 말을 꺼낸다. '물건은 없고, 관리하기는 더 힘들고 그래서 더 이상 사람을 받지 않기로 했다'고 지난 2019년 해녀들끼리 결의를 했다.

특별취재팀=고미 방송미디어국장,김봉철 부장대우,이진서·김수환 기자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정부 광고 수수료를 지원해 제작했습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