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3차 종합계획 용역 발주
각종 계획·연구 연계 총량 수정
제주에너지공사 지위 연장 검토

제주도가 풍력발전 중장기 발전 계획을 다시 짠다.

제주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제3차 풍력발전 종합관리계획(2023~2030년)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고 22일 밝혔다. 

용역비는 3억4712만5000원, 기간은 12개월이다.

이 계획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과 관련 조례 등에 따라 5년마다 제주도지사가 수립, 시행해야 한다. 

제주도는 주요 과업으로 풍력발전 개발이 가능한 총량 조사와 계통안정성을 고려한 보급 전략을 제시했다. 

올해 말까지 공공주도 사업시행예정자로 설정된 제주에너지공사 지위 연장 여부 등도 검토한다.

풍력발전사업 확대를 위한 사회·경제적 수용성 제고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고 주민참여사례, 갈등해소 방안도 마련한다. 

제주도는 지난 2012년 '탄소없는 섬 제주 2030'(CFI2030)을 추진하면서 재생에너지 보급률을 확대해 왔다. 

하지만 전력계통 과부하로 인한 대규모 정전사태가 우려되자 발전기 가동을 강제로 중단하는 '출력제어' 조치가 내려지고 있다.

풍력발전 출력제어는 2015년 3회에서 2019년 46회, 2020년 77회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제1연계선(제주-해남)을 통해 47회에 걸쳐 전기를 역송, 출력제어 횟수가 64회로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지난 4월까지는 38회 출력제어 조치가 내려졌다.

제주도는 CFI2030과 지난해 5월 확정된 5년 단위 법정계획인 '제6차 지역(제주)에너지계획(2020~2025년)', 지난해 제주연구원이 진행한 '제주계통 안정화 방안 및 재생에너지 적정규모 산정 연구' 등 결과를 바탕으로 풍력발전 공급 목표를 설정한다는 계획이다. 

제주연구원이 재생에너지 적정규모 산정 연구 최종보고회에서 제시한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적정 풍력 용량은 2022년 431㎿, 2023년 560㎿, 2024년 865㎿, 2025년  1165㎿다.

당초 CFI2030 계획에서는 2022년 975㎿, 2023년 1015㎿, 2024년 1075㎿, 2025년 1265㎿가 목표치로 설정됐었다. 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