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제민일보·사랑의열매 공동기획 '희망나무'] 6. 서귀포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
삼다수 Happy+ 공모사업
멘토링 활동 등 프로그램
국어·중국어·악기 등 다양
"최종 목표, 안정적 자립"
코로나19 장기화로 홀로서기가 어려워진 제주지역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귀포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소장 강은숙)는 제주도개발공사가 주최하고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제주도사회복지협의회가 주관하는 '제3회 제주삼다수 Happy+ 공모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성장하는 청소년 메이킹(Making) 프로그램 '기적의 멘토를 만나다-성장하는 멘티가 되다'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쉼터 입소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형성 및 기초학력 저하 상황 개선, 학업에 대한 자신감 함양,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모색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정서 지원 및 학업 안정을 위한 '멘토링 활동'과 '전문가 경험공유' 등으로 구성됐다.
입소 청소년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지식을 가진 대학생, 자원봉사자 등 멘토들의 지도를 받아 국어부터 영어, 중국어까지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받고 있다.
또 실용음악과 연계한 드럼 등 악기 교육을 통해 예체능과 관련한 재능을 발견하며 새로운 꿈을 키워나가고 있다.
쉼터 입소 청소년 A양(17)은 "악기 교육에서 드럼을 치는 모습을 친구들이 봐주면서 얘기도 하고 스트레스도 풀리는 것 같아서 좋다"며 "평소 음악을 좋아하는데 나중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해마다 늘고 있는 기초학력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이 같은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이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자립에 도움을 줄지 눈길을 끌고 있다.
강은숙 소장은 "청소년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발판과 더 큰 사회로 진출하는 관문이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며 "이번 프로그램의 최종 목표는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자립"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귀포시여자중장기청소년쉼터는 위기청소년을 위한 보호사업, 교육사업, 가정·사회 복귀사업, 홍보사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김재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