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숲속의 제주 만들기] 9. 제주도 정책 인식조사

제민일보 도시 숲 조성 여론조사 진행…도민 206명 대상
정책 평가는 긍정적…다만 도민 10명 중 6명 인지 못 해
친환경 에너지 및 재정확보 강조…홍보 활성화 대책 절실

제주도는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이에 2022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숲속의 제주 만들기' 사업과 600만 그루 나무 심기 등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도시 숲 조성의 일환으로 '바람길 숲' '녹색 쌈지' '학교 숲' 등 다양한 사업도 전개했다. 하지만 제주도 정책과 관련해 도민 인식은 저조한 실정으로 다양한 도시 숲 사업에 도민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 마련과 함께 정책 홍보 강화가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사업 '효과적'

제민일보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사)한국지역혁신연구원(원장 문만석)에 의뢰해 도민 206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8일부터 28일까지 도시 숲 조성에 대한 도민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 내용은 '제주도 정책 인식조사'로 △주거 주변 숲과 공원 조성 여부 △도심지 공원 등 녹지공원 확충 여부 △6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 인지 여부 △나무 심기와 도시 숲 조성이 기후변화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 △도민참여 및 실천 중요성 △참여 여부 등이다. 신뢰구간 95%에 표본오차 ±6.92%포인트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7.6%(160명)는 '도심지에 공원 등 녹지공간 확충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와 '대체로 필요하지 않다'는 부정 응답은 4.9%(10명)에 불과했다.

특히 제주도가 다양한 도시 숲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에 16.5%(34명)가 '전혀 잘하지 못한다'와 '대체로 잘하지 못한다'라고 답변한 반면 43.2%(89명)에 달하는 응답자는 '매우 잘하고 있다' '조금 잘하고 있다' 등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세부적으로 제주도가 추진하는 600만 그루 나무 심기와 도시 숲 조성사업 등이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대응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긍정 답변이 73.8%(152명)에 달했다.

아울러 '바람길 숲' 조성사업도 75.7%(156명)에 달하는 응답자가 '매우 도움 된다' '조금 도움 된다'고 답하면서 부정 답변(5.3%) 대비 70.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사업과 관련해서도 부정 응답은 2.4%(5명) 수준이지만 긍정 답변은 74.8%(154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식은 '저조'

다만 도민들은 이 같은 제주도 정책과 관련해 인식은 저조한 실정이다.

우선 응답자 대부분인 79.6%(164명)는 제주도가 추진하는 도시 숲 조성사업과 관련해 '도민참여 및 실천'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전혀 중요하지 못하다'와 '대체로 중요하지 못하다'는 응답은 1.5%(3명) 정도다.

이와 관련해 응답자들은 참여 의지를 묻는 질문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 '조금 참여하겠다' 63.5%(131명)로 대체로 적극적인 상황이다.

다만 '해당 사업 내용과 취지'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 '대체로 알지 못한다'라는 답변은 68.0%(140명)다. 도민 10명 중 6명은 6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에 대해 인식이 부족한 셈이다.

또한 가장 필요한 대기오염 저감 대책으로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39.3%(81명)로 가장 많았고 '대기오염 배출시설 규제 강화' 27.2%(56명), '자동차 감축' 15.0%(31명), '택지 및 도로 개발 규제' 12.1%(25명) 등의 순이다.

게다가 정책 추진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응답자 29.1%(60명)가 '재정확보'를 꼽았다. '도민참여 운동' 28.2%(58명), '규정 마련' 13.1%(39명), '나무 심기 홍보' 13.1%(27명), '도로 축소를 통한 녹지대 확장' 9.7%(20명) 등도 이어졌다.

이에 따라 도민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정책과 함께 인식 향상을 위한 홍보 활성화 등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