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가뭄·수질사고 대비 안정적 공급 추진

공급시설 연계 가뭄·사고 대응
지하수위 감시 예·경보 시스템
동·서부 해수침투 방지 사업화
저류지 인공함양 활용도 확대

전지구적인 이상기후가 잦아지면서 가뭄을 비롯한 각종 재해 및 수질사고에 대비해 안전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용수공급체계가 시급하다. 제주도는 내년부터 10년간 적용되는 '제주형 통합 물관리기본계획'을 통해 기후위기 대비 물안전 확보를 추진한다.

△수원 다양화·연계로 비상 대응
제주형 통합 물관리 기본계획안은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강수량 차이 발생이나 극한가뭄에 대응해 안정적인 물공급체계를 우선 구축한다.

가뭄 등 비상시 용수공급 우선순위는 1순위 유역내 용수공급시설간 연계 사용, 2순위 유역간 연계 사용, 3순위 상수도·농업용수 연계 통합 운영 등으로 정립한다.

비상 보충용 수원도 다변화를 위해 마을상수도 157공(18만6000㎥/일)을 비상 보충용으로 전환하고, 상수도 수도시설 및 농업용 광역저수조를 연계 활용토록 추진한다.

또 2040년까지 송수관로를 복선화하고 비상 연계관로를 신설해 가뭄 및 비상사고 발생시 상시적으로 단수없이 공급 가능한 체계를 구축한다.

물공급량을 결정하는 지하수위 감시도 강화해 예·경보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도내에서 이미 지난 2013년과 2017년 극한 가뭄이 발생하면서 도내 관정의 58.8%가 기준수위 이하로 관측됐지만 당시 수위 하강에 따른 위기상황 전파 등 대응조치는 미흡했던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기본계획안은 중산간 지역에 지하수위 감시체계를 확대 설치하고 최신 관측자료로 기준수위를 조정한다. 

또 제주도·통합물정보센터·농업기술원·기상청 등 각 기관과 연계해 가뭄예측시스템을 구축하고 가뭄 예·경보의 효과를 높여나가기로 했다. 여기에 절수 안내와 함께 대체수자원 우선 사용을 권장하는 내용의 법령 개선도 포함됐다.

△해수침투 예방 인공함양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대응하는 체계도 구축한다.

제주 서부지역의 경우 현재도 인위적 해수침투로 인해 농업용수 이용에 차질을 빚고 있고, 동부지역도 자연적 해수침투에 의해 담지하수 개발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수층의 담·염수경계면을 해안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취수량 제한이나 인공함양이 필요하지만 관련된 실증적 연구나 시설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기본계획안에는 서부지역 해수침투 방지를 위한 인공함양 실증시험 시설을 설치하는 등 사업화를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공함양에는 하수재이용수나 빗물 등을 활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물 절약 등 실천방안 교육도 포함됐다.

이와 함께 홍수관리를 위한 기반시설도 기능을 개선해 인공함양 등 활용도를 넓힌다는 방안이다.

도내 저류지는 2007년 태풍 '나리' 이후 299곳까지 늘어났지만 재해방지 기능 외에는 활용이 부족해 정밀조사와 기능개선 용역을 통해 집중호우 이후 활용 확대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도내 211곳에 산재한 5000㎥ 이상 홍수조절용 저류지를 중산간지역 저류조 형태로 시설을 개선해 지하수 함양 저류조로 이용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이밖에 재해 예방용 배수로도 현재의 옹벽형태보다 친환경 시공으로 전환해 지역 특성을 반영하고 생태기능을 살리는 계획을 모색하고 있다. 김봉철 기자

※ 이 기획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