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숲속의 제주 만들기] 8. 제주도 정책 인식 조사

제민일보 도시 숲 조성 여론조사 진행…도민 200명 대상
도민 상당수 확충 목소리 잇따라…제주도 정책 평가 긍정
참여 및 실천 중요 40대 최다…친환경 에너지 전환 강조

제주도는 5년간 15분 도시와 연계한 제주의 지형 및 여건에 맞는 다양한 도시 숲을 조성하는 '6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과 열섬 현상 완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특히 도심지 내 곳곳에 다양한 사업으로 양적·질적으로 녹지공간 확충을 꾀하고 있다. 또한 민간 거버넌스를 활용한 도시 숲 조성을 시민참여 도시녹화 운동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제주도 정책에 대한 인식은 물론 도민 참여 실천 노력이 중요하다.

△지금보다 더 많이

제민일보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사)한국지역혁신연구원(원장 문만석)에 의뢰해 도민 2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0일부터 26일까지 '도시 숲 조성 도민 인식도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해 조사원이 조사 대상 도민을 직접 만나 자기기입식 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대기오염 인식 조사'와 '제주도 정책 인식 조사'로 구분했다.

앞서 '대기오염 인식 조사'에 이어 '제주도 정책 인식 조사'의 경우 세부적으로 △주거 주변 숲과 공원 조성 여부 △도심지 공원 등 녹지공간 확충 여부 △6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 인지 여부 △나무 심기와 도시 숲 조성이 기후변화에 도움 여부 △도민 참여 및 실천 중요성 △참여 여부 등으로 구성됐다. 신뢰구간 95%에 표본오차 ±6.92%포인트다.

조사 결과 숲이나 공원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대체로 충분하지 않다'가 32.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조금 충분하다' 30.0%, '보통이다' 25.0%, '전혀 충분하지 않다' 9.5%, '매우 충분하다' 3.5% 등의 순이다.

즉 '충분하지 않다'라는 답변(41.5%)이 '충분하다'라는 답변(33.5%)보다 8%포인트 높은 셈이다. 이에 도민 상당수인 87.5%가 '녹지공간 확충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녹지공간 확충에 대해 '조금 필요하다'가 절반 이상인 51.0%를 차지한데 이어 '매우 필요하다' 36.5%, '보통이다' 9.5% 등이다. '대체로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0%에 그쳤다.

△정책 인지도 지역별 편차

반면 도민 10명 중 6명은 제주도의 '6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에 대해 인지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실제 조사 대상자의 54.0%가 6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에 '알지 못한다'고 답하면서 '알고 있다'라고 한 응답자보다 많았다. '매우 알고 있다'와 '조금 알고 있다'의 응답은 29.5% 수준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제주시 지역에서 '알지 못한다'라는 응답이 61.0%로 높았으며 서귀포 지역의 경우 '알고 있다'라는 응답이 44.4%로 높았다. 정책 인지도에서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다만 '600만 그루 나무 심기' '도시 숲 조성 사업' '바람길 숲 조성 사업'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 사업' 등 제주도의 정책이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대응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600만 그루 나무 심기'와 '도시 숲 조성 사업'은 88.5%, '바람길 숲 조성 사업'은 83.5%,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 사업'은 87.0%로 각각 긍정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 필요성 공감

이에 따라 도민 대부분은 도정 정책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의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 추진과 관련해 절반 이상인 63.5%가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도민 참여 및 실천 중요성에 대한 질문에서 91.0%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중요하지 않다'라는 응답은 2.5%에 그쳤다.

이어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51.5%로 가장 많았으며 '매우 참여하겠다'도 21.0%에 달했다. '보통이다' 19.5%, '대체로 참여하지 않겠다' 7.0%, '전혀 참여하지 않겠다' 1.0%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에서 87.5%로 가장 많은 참여 의사를 밝혔다. 다만 20대 이하는 51.7% 수준에 머물면서 가장 참여 의사가 적었으며 40대와 무려 35.8%포인트의 차이로 집계됐다.

아울러 나무 심기를 추진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24.5%가 '도로 축소를 통한 녹지대 확장'을 꼽았다.

특히 '도민 참여 운동'이 21.0%로 '재정확보(22.0%)'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나무 심기 홍보'도 18.0% 수준을 보였다.

이 외에 필요한 대책으로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34.0%)'을 꼽았으며 '자동차 감축(28.5%)' '대기오염 배출시설 규제 강화(20.5%)' '택지 및 도로 개발 규제(9.5%)' 등도 잇따랐다.<끝> 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