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복합처리가공단지가 어제 기공식과 함께 첫 삽을 떴다.총사업비 2백억원이 소요되는 어마어마한 사업이다.그러나 기대보다는 걱정이 앞서는 것이 우리의 솔찍한 한 심정이다.

 제주도 당국은 감귤가공공장을 축으로 한 이사업이 마무리 되면 향후 제주산 감귤유통처리난 해소에 결정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가공용감귤의 수매 처리로 전반적인 감귤 가격안정을 가져 올 수 있다고 한다.공장이 가동되면 80억원 규모의 조수입도 기대된다고 말한다.과연 그럴까.

 막말로 유통처리난을 해소할 수 있다는 도당국의 말은 현실과 상당한 거리가 있다.해마다 비상품 감귤 물량이 적게는 6만톤,많게는 16만톤이 생산되는데 반해 감귤공장이 처리할 수 있는 물량은 고작해야 2만톤규모다.비상품감귤이 문제가 되는 것은 물량이 적을 때가 아닌 많을 때인 점을 감안하면 이정도 규모의 공장이 무용지물임을 삼척동자라도 알 수 있다.오히려 기대만 부풀려 과잉생산만 촉진하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때문에 우리는 본란을 통해 수차에 걸쳐 본사업의 재검토를 촉구해 왔다.속된 표현으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실익이 없는 사업이란 판단에서다.그리고 그 판단은 자의적인 것이 아닌 제주도 당국이 실시한 사업타당성조사연구 용역결과를 토대로 해서였다.

 도당국은 조수익이란 표현을 동원 마치 수익성이 있는 것처럼 얘기하고 있지만 기실은 그렇지 못하다.용역기관의 수익성 분석결과 연간 10억원이 넘는 적자를 감수해야하는 사업이라고 분석되고 있다.그나마 공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기 위해서는 감귤기금을 별도조성 적자를 보전해 줘야 한다는 분석이었다.이를테면 생산자 자조금이나 정부·지자체 출연 기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이말은 금년처럼 감귤대란이 터졌을 때 제기능이 발휘 될지도 의문시 되는 사업에 기백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고,또 다시 적자보전을 위한 별도의 감귤기금을 따로 조성해야 한다는 얘기에 다름아니다.

 사실이지 감귤해외수출에 따른 적자보전만해도 버겁고 말이 많다.그런 마당에 이제 해마다 발생하는 막대한 운영적자을 메우기 위해 생산농가가 출혈을 감수하고,적지 않은 혈세를 동원해야 할 당위성에 대해 당국은 과연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지금 이순간 우리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감귤가공공장이 급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에 변함이 없다.거듭돼온 주장이지만 감귤산업 구조조정을 위한 마스터플랜이 선행돼야 한다.가공공장은 그런연후에 재검토 해도 결코 늦지 않다는 생각이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