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위촉 활동가 간담회에서 추려진 얘기들

매년 도에서 위촉해서 마을 현장에 파견하고 있는 위촉 마을활동가제도가 마을에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기 위해서는 운영 방식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5일 마을만들기종합지원센터 2층에서는 센터 주관으로 제주도 위촉으로 마을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위촉 활동가들과 센터와의 간담회가 있었다. 활동 초기 현장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행정과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 소통을 하는 시간이었다. 올해는 지난 4월부터 10명의 활동가가 제주도지사의 위촉장을 받고 마을 현장을 누비고 있다. 

위촉 활동가는 제주도에서 진행하는 마을활동가 교육을 받은 도민 중에서 매년 공모를 통하여 선정하고 있다. 수년간 15명 내외를 선발했으나, 올해는 지원자가 없어서 필요한 인력을 선발하지 못했다고 한다. 위촉 활동가들은 매년 위촉식 날 간담회를 통하여 당해연도의 활동 방향을 설정하고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조금씩 제도화를 위한 틀을 만드는 방법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위촉식이나 간담회 없이 현장에 투입되었다. 행정과 현장의 갈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사전 분위기를 가지고 출발했다. 참석자들은 출발부터 예년과 다름을 먼저 지적했다. 그리고 위촉 기간이 연속성이 없이 매년 단기간(4월~12월)인 점, 마을과 행정의 주요 계획이나 공모가 마감되는 4월이 돼서야 활동이 시작되는 점은 위촉 활동가들이 실질적인 활동 성과를 내기 어려운 여건임을 주장했다.

또한 현재 예산은 도에서, 관리와 운영은 센터에서 하는 활동가 관리의 이원화에 대한 혼선도 지적했다. 실질적인 운영을 주관하고 있는 행정과의 간담회를 요청하기도 했다. 현재 마을활동가 제도는 전국적으로 지자체마다의 특성을 가지고 다양하게 양성되고 운영되고 있다. 2020년 조례에 마을활동가 제도를 담은 지 5년째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마을활동가 제도를 활성화하려는 의지가 있는지는 의문시된다. 계약이 아닌 위촉 방식의 운영, 활동기간과 시간의 제한이 가장 큰 문제다.

또한 활동비로 시간당 생활임금을 적용하는 게 맞는지도 처음부터 논란이 많았다. 마을 현장에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활동가들이 마을의 입장에서 자신들을 도와주고 대변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위촉 활동가제도가 현장에서 필요한 이유다. 운영 방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