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 차 파손·인명피해 사고 우려
인식 개선 강력 단속 등 목소리

21일 제주시 평화로 인근 도로에서 한 화물차가 여러 개의 파레트를 안전하게 적재하지 않은 채 주행하는 등 아찔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전예린 기자 
21일 제주시 평화로 인근 도로에서 한 화물차가 여러 개의 파레트를 안전하게 적재하지 않은 채 주행하는 등 아찔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전예린 기자 

제주지역 도로 곳곳에 안전장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적재 불량 화물차들이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21일 오전 제주시 평화로 인근 왕복 4차선 도로에서는 대형 화물차들이 여러대 주행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대형 화물차들은 저마다 산업 폐기물, 비료포대, 벌목한 나무 등 적재물을 가득 싣고 덮개 없이 아슬아슬한 운행을 이어가고 있었다.

한 5t 트럭은 여러 개의 파레트(운반용 합판)를 가득 싣고 빠른 속도로 달리면서 뒷칸에 있던 적재물들이 덜컹거리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대형 화물차에 실려있는 적재물들이 안전장치 없이 주행해 도로로 떨어질 경우 뒤따르던 차량 운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는 모습이었다.

이처럼 대형 화물차 적재 불량으로 적발되는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 제주경찰청 적재물 단속 결과 도로교통법 제 39조 제4항 적재물 추락 방지 조치 위반 건수는 2021년 23건, 2022년 12건, 2023년 30건, 올해 34건이 적발됐다.

애월읍에 거주 중인 윤모씨는 "평화로 같이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는 도로에서 적재 불량인 화물차를 목격하면 섬뜩하다"며 "적재물이 쏟아질까 불안한 마음에 거리를 두며 주행을 하고 있지만 안전거리를 확보해도 적재물이 쏟아지면 2차 사고로 이어져 불안한 건 마찬가지"라고 토로했다.

이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단속을 강화하고 화물차 운전자들도 적재물 관리에 좀 더 신경 써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단속 강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정애라 제주교통안전공단 책임연구원은 "적재 불량과 낙하물 사고는 후행 차량 추돌사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적재 불량으로 인한 사고는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화물차량 운전자에게는 방어운전을 넘어 상대 차량에 대한 보호 운전의 자세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단속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전예린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