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대표 명절 동지, 작은 설로 불리기도
팥죽, 탄수화물·단백질 풍부…건강에 좋아

자료사진
자료사진

동지는 24절기의 22번째 절기로 1년 가운데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겨울의 대표 명절이다. 동지에 액을 막기 위해 먹는 팥죽은 식품학적으로도 영양이 풍부해 겨울철 보양식으로 안성맞춤이다. 동지의 유래와 팥죽의 효능 그리고 레시피(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동지의 유래

동지는 예로부터 '작은 설'로 불렸으며, 건자월, 고월, 중동, 지월, 주정, 창월, 일지일 등 여러가지 호칭이 있었다.

동지는 역 계산의 기산점으로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돼 왔다. 태양이 황도의 가장 남쪽 지점을 통과하는 시점으로 1년중 하루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날임과 동시에, 이날을 시작으로 해가 비치는 시간이 다시 길어지는 기점이 된다. 

이에 인류문화사에서도 동짓날은 생명·태양의 탄생이라는 의미로써 중요한 의례일로 삼은 사례가 많았다. 전통시대 삭망을 기준으로 신년의 첫날을 원정으로 했다면, 동지는 태양 24절기의 기준으로 '아세(작은 설)'로 불렸다. 동지는 절기 순환의 시작 기점으로서 의미가 있다.

동지가 우리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고려시대다. 당시 사대부들의 문집 기록을 살펴보면 국가적인 제사, 동지 팥죽, 동지 달력 등 당대 풍속이 상세히 언급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도 동지는 그 전승을 유지해 국가적 의례와 동지 팥죽과 달력에 대한 기록은 상세한 확인이 가능하다. 팥죽에 들어가는 새알심과 관련된 기록을 통해 전통적 시간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동지는 새알심을 먹는 행위를 통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동지 명절의 의미를 상징한다. 

한 해 마지막 달인 섣달은 묵은해를 잘 정리하고 새해를 준비하는 시기로 동지 팥죽이 전승을 지속·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팥죽을 끓여 가족 및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팥죽제사를 지내고, 팥죽을 나눠먹으며 한 해의 마지막을 가족 공동체의 화합을 도모했다.

△팥죽의 의미

동짓날의 팥죽은 시절식((時節食))의 하나이면서 신앙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팥은 색이 붉어 양색(陽色)이므로 음귀를 쫓는데에 효과가 있다고 믿었으며 민속적으로 널리 활용됐다. 

동짓날에 팥죽을 쒀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도 악귀를 쫓는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에도 팥죽·팥떡·팥밥을 하는 것은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밖에 민간에서는 동짓날 부적으로 악귀를 쫓고 '蛇(뱀 사)'자를 써서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여 뱀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풍습이 있다. 또 동짓날 일기가 온화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죽는다고 하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전한다. 

△팥죽의 효능

팥죽의 주원료인 팥은 탄수화물·단백질이 풍부하며, 인·칼슘·칼륨·철, 비타민 A·B가 고루 들어 있다. 탄수화물 중에서는 전분 함량이 가장 많아, 팥 전체 성분의 34%를 차지한다.

팥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이뇨작용이 뛰어나 체내에 과잉 수분이 쌓여 살이 찌는 사람에게 효과적이며, 팥 속의 칼륨이 염분에 들어 있는 나트륨을 분해시켜 부기나 만성신장염 치료에도 좋다. 비타민 B가 많이 함유돼 있어 각기병을 막아 주고 몸속의 열을 조절한다.

또한 팥에는 섬유질과 여러 종류의 사포닌이 들어 있어 장 기능을 원활하게 해 변비를 예방해준다. 다른 식품에 비해 포만감을 빨리 느끼게 해 과식도 방지한다.

이러한 팥의 효능 때문에 팥물 다이어트도 인기를 얻고 있다. 붉은 팥을 불린 뒤 삶다가 팥이 말랑말랑해졌을 때 불을 끄면 물이 연홍색이 된다. 이 물을 식힌 후 병에 담아 냉장고에 넣어 두고 식전에 마시면 된다. 하지만 위장이 약한 사람에게는 해가 될 수 있다. 삶은 팥은 버리지 말고 밥할 때 조금씩 올려서 먹으면 좋다. 

△팥죽의 레시피

팥죽을 만드는 법을 알고 동지에 쒀 먹으면 좋을 것이다. 우선 쌀은 깨끗이 씻어 1~2시간 동안 불린 후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팥은 깨끗이 씻은 후 냄비에 팥과 물 2컵을 넣고 끓인다. 끓어오르면 물을 따라버린다. 팥을 삶은 첫 물에는 쓴 맛을 내는 사포닌 성분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팥이 끓어오르면 물만 따라내어 버린다. 다시 물 5컵을 붓고 푹 익을 때까지 1시간 동안 삶는다. 

팥이 푹 익으면 물 2컵을 부어가며 주걱으로 비벼가며 체에 걸러 팥 앙금을 내린 후 껍질을 제거한다.

찹쌀가루에 소금을 약간 섞고 따뜻한 물을 넣어가며 반죽해 지름 1.5㎝정도의 옹심이를 만든다. 옹심이를 만드는 것이 힘들면 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다. 마트의 찹쌀가

루와 방앗간에서 빻은 찹쌀가루의 수분 함량이 다르므로 물의 양을 잘 조절해준다.

냄비에 팥물과 불린 쌀을 넣고 끓여준다. 끓어오르면 뚜껑을 닫고 쌀이 퍼질 때까지 다시 뜸을 들이면서 중간중간 주걱으로 저어준다. 옹심이를 넣고 끓이다가 소금으로 간해주는 것도 좋다. 죽을 끓일 때는 나무주걱으로 저어줘야 삭지 않는다. 

올 한 해 마지막은 팥죽을 만들며 가족과 화합을 도모해보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