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지난해 불어닥친 고금리·고물가 부담으로 건설업·소비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고용 한파'가 매섭다. 설상가상으로 작년 12·3 위헌·위법적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가 겹치며 내수가 더 위축되자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채용을 줄이면서 고용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제주지역도 마찬가지다. 주력 산업인 관광·건설업 부진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결과 지난해 실업률은 2.3%로 코로나19가 유행이던 2021년 이후 최고치에 이를 만큼 고용 성적표가 좋지 않다.
통계청 제주사무소 분석 결과 작년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000명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가 맞물린 12월 한달간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8000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는 내수와 맞물린 건설업 4000명(-10.9%), 도소매·숙박업·음식점에서 1만명(-9.4%)이 줄면서 전체 업종 중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신규 수주액 감소로 건설업이 위축된 가운데 정국 불안으로 관광객까지 줄어든 결과 지역경제가 타격을 입고 있다.
건설업 침체와 관광객 감소가 올해 초에도 이어지면서 고용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도록 제주도의 대응책 수립이 필수다. 특히 작년 12월 취업자 감소가 2030 청년층에서 뚜렷해 안정적 일자리를 창출할 우주산업 등 신성장산업의 성과 가시화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동시에 고용·취업 장려금 지원은 물론 주력 산업인 관광·건설업 활성화를 위해 올해 세운 정책을 일찍 집행하는 등 분발해야 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