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케이블카 설치는 1962년부터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제주사회의 해묵은 논쟁거리다. '새로운 관광자원 개발' 대 '환경·경관 파괴'의 찬·반 대립이 강해 소모적 논쟁만 초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례로 제주도가 1994년부터 2009년까지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했지만 반대 여론에 밀려 중단됐다. 정부 방침 역시 정권이 바뀔 때마다 '허용' '불가'로 오락가락하면서 제주도가 2005년, 2010년 두 차례 포기한 이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하지만 2년 전부터 일부 도의원을 중심으로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를 오영훈 도지사에게 제안하며 다시 불거졌다. 당시 오 지사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재지정 걸림돌과 도심항공교통(UAM) 한라산 관광 활용을 이유로 부정적 입장을 밝혔지만 도의회는 올 상반기 중 1500만원을 들여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키로 해 찬반 논쟁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또 조사 결과를 놓고 공론화를 추진키로 해 도민사회의 홍역이 불가피하다.

앞서 경험했듯이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는 소모적 논쟁만 심화시킬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의 '설악산 케이블카 조건부 허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만 도민 인식조사와 공론화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전임 도정에서 용역비 7억원과 전문가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고도 포기한 점을 감안할 때 도의회의 이번 조사가 긁어 부스럼 만드는 것은 아닌지 되새길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