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5개년 100대 국정과제 밑그림을 그릴 국정기획위원회가 그제 공식 출범하면서  면서 전국 자치단체들의 지역공약 반영 경쟁도 닻을 올렸다. 국정기획위는 오는 8월까지 이 대통령이 대선 기간 중 제시한 중앙·지역 단위 공약을 검토해 우선 추진 순위 선정 등 100대 국정과제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제주도·도의회·도교육청은 제주 공약이 우선 추진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새 정부 정책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공조 체제에 나섰다.

정부가 권한·재정을 독식하는 현실상 제주 공약이 국정과제 우선순위에 반영되면 지역 현안 해결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지역과 달리 제주는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새 정부 정책협의체'에 참여하지 않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을지 우려된다. 이는 대구·경북은 물론 제주보다 더 이 대통령에 지지를 보낸 전라권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해당 지자체와 함께 국정과제 발굴·반영에 나서는 것과도 대조적이다.

전국 지자체와 경쟁하는 현실상 지역 현안의 국정과제 반영은 도·도의회·교육청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다. 지역 국회의원들이 협력해야 국정과제 반영 추진 동력이 강화되고, 제주 현안들이 우선 추진 과제로 분류돼 도민 이익이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아무리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의정 활동이 바쁘다 하더라도 지역 현안 해결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제주 유권자들도 지역 정치권이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감시의 책무를 다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