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을 좌우할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본궤도에 올라 다행스럽다. 찬·반 주민대표 2명과 전문가 등 10명이 참석한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협의회는 지난 19일 국토교통부 산하 제주지방항공청이 임의로 작성해 제출한 환경영향평가 준비서 내용을 검토해 조사 범위를 확대키로 결정했다. 협의회가 이날 조류의 이동 경로 파악부터 동·식물상, 해양생태계, 대기질 조사까지 평가 기준을 강화하기로 해 10년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사다.

환경영향평가 조사 범위가 결정됨으로써 성산읍 온평리 등 5개 마을의 제2공항 건설 적합성 검증 절차도 시작됐다. 국토부가 향후 1년간 항공 수요 예측, 조류 충돌 위험성 등 협의회의 결정 내용을 토대로 조사·작성한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하면 도·의회가 5개 마을의 제2공항 건설 예정지 적합성을 검증하게 된다. 국토부가 2015년 11월 일방적으로 제2공항 건설 예정지를 발표했기에 환경성 검증은 제2공항 추진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토부가 제2공항 주민투표 실시에 반대하고 있어 보다 세밀한 환경영향평가 조사가 진행돼야 한다. 특히 제주공항보다 8배 높은 제2공항의 조류 충돌 위험성 조사는 지역 전문가와 공신력 있는 기관의 참여가 필수다. 조류 충돌로 빚어진 무안공항 참사를 감안할 때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동시에 반대 측도 제2공항을 무산시킬 의도가 있는 무리한 요구를 자제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