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중인 제2공항과 신항 건설사업은 제주의 미래를 좌우할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사업비도 천문학적 규모다. 국토교통부가 작년 9월 기본계획 관보 고시를 통해 국가사업으로 확정된 제2공항 건설 1단계 사업비는 5조4532억원이다. 또 해양수산부가 올해 4월 기본계획을 고시한 제주신항 건설 사업비도 3조8000억원에 달한다. 정부의 추진 일정상 2개 국책사업이 정상 추진되면 2035년 동시 개항될 것으로 보인다.

2개 국책사업에 총 9조2000억여원이 투입돼 도내 공·항만 인프라를 확충할 대역사다. 제주공항의 포화 및 불안한 착륙 해소, 부족한 제주항 선석 해결과 물류체계 대전환의 기점을 마련할 수 있다. 하지만 찬·반 갈등 해소가 관건이다. 제2공항은 2015년 국토부의 일방적인 성산읍 5개 마을 건설 예정지 발표로 10년째 갈등을 겪고 있다. 또 제주신항은 최근 공청회에서 해상 매립에 따른 어민·해녀들의 피해 보상 요구가 제기됐다. 

2개 국책사업이 정상 추진되면 공·항만 인프라 확충과 함께 2018년부터 공공·민간 수주액 감소로 침체된 건설업 회생 등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적지 않다. 그래서 도·도의회의 갈등관리 역량 강화가 시급하다. 선제적으로 대응치 못하면 도민들만 갈등의 상처를 떠안을 수밖에 없다. 정부와 피해 주민이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은 도·도의회의 당연한 책무다. 전임 도정에서처럼 도·의회가 '나만 옳다'며 대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