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도의회·도교육청이 최근 이재명 정부 100대 국정과제에 반영할 7조8000억여원 규모의 지역 현안 72건을 발굴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오는 8월까지 국정과제를 수립중인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대선공약 이행 선별 작업에 착수하면서 '제주 불이익' 우려가 나오는 것은 문제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일 강원권을 시작으로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4개 권역에서 실시될 국정기획위의 국민제안 경청 투어에서 제주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주 핵심 현안이 국정과제에 반영되지 않거나 축소·수정 및 장기 과제로 밀리면 도민들이 입을 불이익은 불문가지다. 도민 목소리를 현장에서 전달할 소통 창구가 없으면 제주 과제의 반영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전국 자치단체들도 지역 현안을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시키려고 총력전에 나서고 있어 제주 과제를 반영시키는 게 쉽지만은 않다.
본란에서 여러 차례 강조했지만 도민 불이익 해소를 위해서는 도·의회·교육청의 힘 만으론 부족한 게 사실이다. 그래서 도민 이익을 대변할 지역 국회의원 3명의 역할이 막중하다.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감안한 정치적 행보설이 나오고 있지만 도민들이 뽑아준 은혜까지 저버리는 것은 배은망덕의 문제다. 이상봉 도의회 의장이 최근 취임 1주년 언론 기고문에 쓴 것처럼 국회의원 3명도 도민 이익을 위해 정치적 이해를 넘어서는 소통과 협력의 자세를 지녀야 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