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만간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전국으로 한시 확대하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법무부간 3분기 시행을 목표로 협의가 진행되고 있어 시행은 시간 문제다.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가 처음으로 한국인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데 대한 상호적 조치이자 방한 관광시장 회복 전략의 일환으로, 시행 자체를 막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 제기되는 상시 정책으로의 전환은 분명히 경계해야 한다.
지금까지 제주도에만 적용되는 중국인 관광객 30일 무비자 입국은 제주관광의 큰 강점이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중국인 관광 수요가 서울, 부산 등 대도시로 분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제주에서는 방한관광객 증가 효과는커녕 치안 리스크만 높이는 결과를 맞을 수도 있다. 결국 무비자 전국 확대가 제주관광의 경쟁력만 떨어트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에 이번 조치는 반드시 기한을 두고 평가와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한시적 확대가 기정사실화된 이상, 제주도와 관광업계는 중국 단체관광객의 성향을 반영한 맞춤형 상품 개발과 홍보, 치안 대책 마련에 발빠르게 나서야 한다. 기회가 위기로 바뀌지 않도록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 전국 상시 확대 논의가 고개를 들지 못하도록 논리와 전략 개발도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정부 역시 당초 구상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정책이 틀어지지 않도록 상시화에 명확히 선을 긋고, 제주의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