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한국전쟁 전후 전국적으로 민간인들이 강제로 끌려가 집단학살 암매장됐다. 제주 역시 77년 전 발생한 4·3 희생자 중 억울하게 옥살이한 행방불명 수형인(행불인)들이 4064명으로 추정된다. 행불인들은 당시 군·경에 끌려가 제주국제공항 활주로 등 도내 곳곳서 집단학살 암매장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또 전국 형무소 수감자 2530명 중 사형 384명과 옥사 310명을 제외한 1763명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예비검속으로 집단학살 암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행히 2005년 정부의 진실ㆍ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진실화해위) 출범후 2007년부터 4·3 행불인 유해 발굴이 진행됐지만 신원 확인자는 147명으로 미미하다. 심지어 2기 진실화해위의 유해 발굴 작업이 지난 5월 종료되면서 행불인 희생자 신원 확인에 비상이 걸렸다. 오는 11월 2기 진실화해위의 활동이 종료, 늦어도 12월에 3기 진실화해위가 출범하려면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관련법 개정 절차가 9월까지 마무리돼야 하기 때문이다.
3기 진실화해위 출범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그래서 정부·국회는 법 개정 절차에 서둘러야 한다. 4·3 당시 영문도 모른 채 억울하게 목숨을 잃은 희생자의 유족들은 지금까지도 시신을 찾지 못해 무덤을 만들지 못하고, 비석조차 세우지 못하는 실정이다. 억울하게 희생된 행불인 희생자들이 고향에서 영면할 수 있도록 정부·국회는 혼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